교육인적자원부가 1년6개월여동안의 준비를 거쳐 내놓은 공영형 혁신학교가 ‘외국어고 회오리’에 묻히고 있다. ‘다른 시ㆍ도 외국어고 지원 제한’ 조치 파장이 워낙 커 공영형 혁신학교 내용이 수요자인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다. 민간 위탁운영,교육과정 자율화, 공모교장 등 눈에 띄는 내용이 적지 않지만 제대로 아는 학부모는 많지 않다.
장ㆍ단점에 대한 분석 등 시범운영에 앞서 다양한 의견수렴이 있어야 하지만 교육부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단지 공영형 혁신학교 정식 명칭 공모에 나선 정도가 전부다. 시범학교 선정을 위한 추진위원회 구성도 제자리 걸음이다.
학부모들의 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중학교 2학년 아들을 두고 있는 김모(40ㆍ경기 성남시 분당구)씨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신 학교시스템에 당연히 관심을 갖게 된다”며 “공영형 혁신학교가 구체적으로 어떤 곳인지 알리려는 정부 노력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아쉬워했다.
일선 교사들도 비슷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서울 A고 진학담당 유모교사는 “공영형 혁신학교가 외고 지역 제한 논란 때문에 발목이 잡힌 것 같다”며 “이미 결정이 난 정책을 놓고 비생산적인 논쟁을 하기보다 새 학교를 미리 점검해보고 문제점을 해결해가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추진 주체인 교육부의 안이한 태도를 꼬집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충남대 교육학과 천세영 교수는 “교육부가 외고를 비판하는 데 골몰할 때가 아니다”며 “공영형 혁신학교를 운영하기로 했다면 또 다른 특수학교 논란과 사교육 조장 가능성 등 시스템이 안고 있는 한계를 따져 풀어가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외고 지역 제한 논란은 이날도 계속됐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은 성명을 내고 “외고 교육은 중등교양과정이지 통역사를 길러내는 과정은 아니다”며 “오히려 다양한 분야를 전공토록 하는 게 국가나 사회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외고 출신은 어문계열로 진학해야 한다는 교육부의 논리가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이 단체는 “공영형 혁신학교는 공모 교장의 강력한 리더십으로 무너진 공교육을 세울 수 있고 특성화 교육도 가능해 외고, 자립형 사립고와 선의의 경쟁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진각 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