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국제포경조약(ICRW)에 따라 전면 금지된 상업적 고래잡이를 다시 할 수 있을까.
카리브해 섬나라인 세인트 키츠 네비스에서 16~20일 5일간 열리는 제58차 국제포경위원회(IWC) 총회에서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국가 등 상업적 포경 금지 해제를 원하는 나라가 70개 회원국 중 절반이 넘는 36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17일 일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 포경 찬성국이 지원금 제공을 조건으로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나라들의 찬성표를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한국도 과학적이고 합리적 방식의 상업포경재개를 지지하는 입장이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미국 등은 상업적 고래잡이 허용은 멸종 위기에 처한 고래 보호를 위해 IWC가 출범한 46년 전으로 되돌리는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IWC 회원국 과반수가 포경 재개를 원한다 해도 당장 포경금지가 해제될 것 같지는 않다. 이를 위해서는 53개 회원국(75%) 이상이 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경 찬성국이 과반수를 넘으면 일본은 현재 공개로 진행되는 투표절차를 비공개로 바꾸려고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럴 경우 환경단체들이 일본의 로비활동을 감시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은 IWC에 고래잡이 찬성여론을 조성해 결국은 포경이 합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은 상업적 포경 금지의 빗장을 풀기 위해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국가들의 IWC 가입을 이끌어왔다. 이에 따라 93년 39개국이던 회원국이 이 달 초 70개국으로 늘어났다. 새로 가입한 회원국 대부분은 고래잡이를 생업으로 하는 어민이 전혀 없다. 몽골 체코 룩셈부르크 등 일부 신규 회원국은 아예 바다도 없는 내륙국이다.
상업적 포경 금지 해제를 적극 추진하는 일본은 남극에서 매년 1,000마리의 밍크고래를 ‘과학연구’라는 명목으로 포획하고 있다. 일본에서 고래고기를 주기적으로 먹는 국민은 1%도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포경에 집착하는 것은 정치적 고려 때문이라고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지적했다. 수십 년 동안 계속된 미국의 외교ㆍ군사적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일본 우익이 포경 분야에서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과 다른 포경 찬성국들은 그동안의 상업적 포경 금지로 고래 개체수가 너무 늘어나고 어족 자원을 마구 먹어치워 수산업 비중이 큰 나라들에 심각한 타격이 되고 있다고 반박한다. 93년 노르웨이는 과학 연구 목적으로 사실상 상업적 고래잡이를 다시 시작했고, 2003년에는 아이슬란드가 뒤를 따랐다. 일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에 의해 해마다 2,000여마리의 고래가 잡히고 있다.
권대익기자 dk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