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현 신부 등 ‘평택기지 확장저지 범국민대책위원회’ 회원들이 끝까지 저항한 대추분교가 ‘제2의 전남도청’에 비유되고 있다.
이들이 최후의 보루로 택한 계성초등학교 대추분교는 부지 4,331평에 269평의 2층 건물로 학생수 감소로 2000년 9월 폐교됐다. 국방부는 지난해 7월 27억여원에 대추분교를 매수, 철거할 예정이었지만 범대위와 주민들이 점거해 철거가 미뤄졌다. 4일 공권력 투입 때도 아직 이사하지 않은 주민 100여명과 평화운동가 50여명이 마지막까지 남아 농성을 계속했다.
이들이 대추분교를 최후의 저항지로 택한 이유는 주위에 수백명을 동시에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이곳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마을 주민들 대부분이 이 학교 출신이어서 상징성이 남다르다는 점도 작용했다. 특히 평택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와 불과 50여㎙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미군기지 이전 반대운동을 펼치기에는 더 없이 적합한 장소였다.
범대위 회원들은 공권력 투입이 결정되자 ‘제2의 광주항쟁 우려된다’는 내용의 유인물을 돌리는 등 대추분교를 전남도청에 이어 민주화의 또 다른 상징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날 현장을 방문한 열린우리당 임종인 의원도 “전남도청 진압작전을 연상케 한다”며 범대위 관계자들을 위로했다.
하지만 대추분교가 갖는 상징성에도 불구, 전남도청과의 직접 비교는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공수부대를 상대로 목숨을 내놓고 싸운 민주화 운동의 성지 전남도청을 미군부대 이전반대 운동이 벌어진 대추분교와 같은 급으로 논하기에는 적절치 않다는 주장이다.
이범구 기자 gogum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