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출금리 인상과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금리인상 중단 시사 등 쌍끌이 악재가 한국경제를 강타하고 있다. 중국의 대출금리 인상은 중국이 또다시 긴축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우리 기업의 대중 수출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은 미국의 경기둔화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한편, 세계적인 달러 약세를 촉발해 원ㆍ달러 환율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28일 코스피지수는 전날 보다 32.80포인트 급락한 1,419.73으로 마감했다.
중국의 대출금리 인상은 올 1분기 성장률이 10.2%를 기록하는 등 너무 뜨거워진 투자과열을 가라앉히기 위한 조치이다. 인상폭(0.27%포인트)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강력한 긴축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추가 긴축이 이어지면 얘기는 달라진다.
중국 경제가 당국의 급브레이크로 경착륙할 경우 중국 내수시장을 노리고 진출했거나, 중국에 부품ㆍ중간재를 납품하고 있는 한국 기업으로서는 큰 타격이다. 중국은 현재 한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다. 이날 주식시장에서도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포스코, 동국제강 등 철강ㆍ기계 업종들이 더 큰 폭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중국 발 충격은 단기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은 8~9%씩 성장하지 않으면 실업, 금융 부실 등의 문제가 불거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경기 급제동은 걸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세계 ‘원자재 블랙홀’인 중국의 투자열기가 가라앉으면서 유가나 원자재값이 안정될 수 있다. 나아가 중국이 조금씩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지속 성장하는 게 한국으로서도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많다.
대출금리 인상이 외수 부문의 긴축, 즉 위안화 절상으로 이어질 거라는 견해도 있지만 대부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위안화 절상과는 관계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 한국은행 관계자는 “중국은 금리와 환율이 모두 정부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 금리를 올렸다고 환율이 움직일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오히려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 가능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미국은 5월에 금리를 5%로 인상 한 뒤, 6월에는 건너뛸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미국 기준금리는 상당기간 5%선에 묶여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올 1분기 호조세를 였던 미국 경제가 하반기 둔화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유럽과 일본이 금리를 올릴 태세라는 점을 미뤄보면 글로벌 달러 약세가 본격화할 수 있다는 신호탄이기도 하다. 그만큼 대미 수출 감소, 원화 절상 압력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이다.
유병률 기자 bry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