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쇼(扶桑)사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 대응, 2001년 4월 ‘일본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란 이름으로 출범한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이하 역사연대)가 출범 5주년을 맞아 창 끝을 중국 교과서로 돌린다. 한국 역사를 중국의 역사 교과서에서 지우는 한층 우려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연대는 28일 서울 중구 장충동 만해NGO교육센터에서 ‘현대 중국의 교과서-소외되는 한국사’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역사연대가 향후 5년간의 2기 한중일 역사교과서 운동을 선언하면서 모색하는 ‘동아시아 역사인식 공유’를 위한 첫걸음이다.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김지훈 성균관대 연구교수는 2001년 이후 중국 역사 교과서에서의 ‘의도적’인 한국사 누락 흐름을 짚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01년 이전까지는 역사 교육에 관한 지침이랄 수 있는 ‘역사교학대강’을 통해 역사 교과서가‘아시아 봉건국가’항목에 조선, 일본, 이슬람ㆍ아랍제국, 오스만제국을 포함시켜 서술토록 정해놓았다. 그러나 2001년 이후 바뀐 ‘역사과정표준’에는 ‘일본 다이카(大化)개신과 마호메트의 활동을 서술하라’고 규정하는 바람에 중국내 모든 출판사의 9학년(중학과정) 세계역사 실험용 교과서에서 한국사 내용이 모두 삭제됐다.
2004년부터 새 교과서를 실험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고등학교의 사정도 비슷하다. 김 교수는 중-베트남 전쟁 직전인 1978년 중국 교과서에서 베트남이 빠진 예를 들어 “중국 역사교과서는 정치 정세와 시대적 특징이 결합한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박장배 한신대 교수는 ‘유물사관’뿐만 아니라 ‘애국주의 관점’이 ‘하나의 민족’(중화민족)과 ‘하나의 국가’(다민족통일국가), 즉 ‘하나의 중국’ 관념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1950년대 중국 역사교과서에서 쓰인 “몽골족이 ‘중국’을 점령했고, 한족은 이민족의 치하에 들어갔다. 중화 민족은 봉기를 계속했다”, “만주족의 청나라가 중국에 민족(한족)의 감옥을 만들었다”는 등 중화주의와 한족(漢族)을 동일시한 사례를 들어 ‘하나의 중국’의 허구성을 들춰냈다.
안병우 한신대 교수는 ▦중국 왕조의 한국 침략 은폐 ▦한중 우호 관계만 강조 ▦한국에 대한 설명 없이 중국과의 ‘관계사’만 서술한 점 등을 중국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일본사 부분이 느는 것과 비교하면 한국사를 경시하는 추세는 부정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신주백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조선인의 항일 투쟁이 처절했던 만주 지역 역사에서도 조선인의 기여는 언급되지 않고, 심지어 혈맹이라는 북한의 김일성 전 주석의 항일 무장투쟁을 언급한 경우도 1956년 교과서가 유일하다 해도 무리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안준현 기자 dejav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