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말들의 풍경-고종석의 한국어 산책] <3> '님'과 '씨'의 사회심리학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말들의 풍경-고종석의 한국어 산책] <3> '님'과 '씨'의 사회심리학

입력
2006.03.22 00:08
0 0

나이나 지위의 높낮이에 민감한 한국인들에게는 남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가 늘 골칫거리다. 썩 친해져 서로 너나들이를 할 정도가 아니면, 호칭은 흔히 긴장의 땔감이 된다.

버젓한 직책을 지닌 사람이야 이름 뒤에 직책을 붙여 부르면 그만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두루 부를 수 있는 말이 쉬 떠오르지 않는다. 이름 뒤에 붙는 ‘씨(氏)’(사전은 이 말을 의존명사로 분류해 이름과 띄어쓰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접미사로 보아 붙여 써도 상관없을 듯하다)가 꽤 널리 쓰이고 있긴 하다. 그러나 이 말을 잘못 썼다간 고성이 오가다 마침내 주먹다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글에서는 ‘씨’가 존중의 뜻을 담을 수 있다.

이를테면 “선동렬은 타고난 투수다”라고 쓰는 것보다 “선동렬씨는 타고난 투수다”라고 쓰는 것이 더 엄전하다.(신문기사에서 여느 사람들의 이름과 달리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이름 뒤에 ‘씨’를 붙이지 않고 이름을 날것으로 드러내는 관행은 퍽 흥미롭다. 이런 관행은 그들의 대중적 친밀도와 관련 있을 텐데, 꼭 그래야만 하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선동렬씨와 얘기를 나누는 후배가 그를 “선동렬씨!”라고 부를 수는 없다. ‘씨’는 대체로 화자보다 나이나 지위가 아래이거나 엇비슷한 사람에게만 사용된다.

당사자가 없는 자리에서 3인칭으로 일컬을 때야 손윗사람 이름 뒤에 ‘씨’를 붙여 얘기하기도 하지만, 본인 앞에서 손윗사람을 ‘아무개 씨’라고 부르는 것은 어색한 분위기를 빚어내기 십상이다. 나이든 환자가 젊은 의사로부터 ‘아무개 씨’라고 불리는 것을 참아내는 것은 상대가 제 몸의 운명을 틀어쥔 강자이기 때문이지 그 호칭이 들을 만해서가 아니다. 이것은 영어의 ‘미스터(Mister)’나 ‘미스(Miss)’와는 아주 다른 상황이다.

‘미스터’나 ‘미스’에는 존중의 뜻이 담겨있다. 하기야 이 말들도 한국어 어휘목록에 들어오면서부터는 본디 지니고 있던 경의(敬意)를 잃어버리고 하대(下待)의 뉘앙스를 띠게 되었다. 언젠가부터 이 말들은 세력을 크게 잃어 요즘엔 듣기가 거의 어렵게 됐지만, 과거 어느 시절 홍길동이나 홍길순을 ‘미스터 홍’이나 ‘미스 홍’이라 부르는 것은 ‘홍길동씨’나 ‘홍길순씨’라고 부르는 것보다 더 무람없는 짓이었다.

누군가가 대화 상대로부터 아무개씨로 불리는 것은 드물지 않게 두 사람 사이의 위계를 함축한다. 말하자면 ‘씨’라는 말은 다분히 계급적이다. 그런 계급적 뉘앙스가 배지 않은 말을 찾으려는 노력은 여러 세대 전부터 있어왔다. 한글학회 계열의 일부 국어운동가들이 제안한 ‘님’이 대표적이다.

이를테면 상대방을 부를 때 두 사람 사이의 위계질서와 상관없이 서로 “노무현님!”, “정동영님!” 하는 것이다. 이런 시도는 이내, 한국어에서 접미사 ‘님’은 고유명사 뒤에 붙을 수 없다는 항변과 맞부딪쳤다. 아닌게아니라, ‘부장님’이나 ‘선생님’에서처럼 호칭 뒤에 붙든 ‘달님’이나 ‘별님’에서처럼 의인화한 대상 뒤에 붙든, ‘님’은 보통명사 뒤에 붙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래서 “노무현님!” 식 말투는 일부 국어운동가들의 좁다란 동아리 안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됐다.

그러나 꼭 길이 이미 있어야 사람이 그 위를 걸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사람이 걷고 또 걷다 보면 어느새 길이 생긴다. 한국어의 전통어법에 들어맞든 어긋나든, 이제 ‘님’은 계급적 뉘앙스 없이 사람이름 뒤에 붙을 수 있는 대표적 호칭어가 됐다.

직장 동료들끼리 직책과 무관하게 상대를 ‘아무개님’으로 부르기로 결정한 회사도 생겼다고 한다. ‘님’의 이 대중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은 인터넷이다. 인터넷 공간에서 네티즌들은 보이지 않는 상대방을 아무개님이라고 부름으로써 이 탈계급적 호칭어를 널리 퍼뜨렸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이런저런 ‘님’들은 죄다 접미사다. 현대한국어사전은 우리가 아래서 살필 대명사 ‘님’이나 명사 ‘님’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님’은 독립적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명사 뒤에서 더부살이를 해야 한다. ‘장관님’이나 ‘천정배님’처럼 말이다.

그러나 네티즌들은 접미사 ‘님’의 생태계를 고유명사 뒤로 넓히는 데 그치지 않고, ‘님’의 품사 영역 자체를 대명사로까지 확대했다. ‘님’은 인터넷 공간에서 흔히 ‘당신’의 의미를 지닌 2인칭 대명사로, 그러나 ‘당신’이 지닌 하대의 뉘앙스 없이 사용된다. “님의 주장에는 치명적 약점이 있어요”라거나 “님은 한나라당 지지자시군요” 할 때의 ‘님’ 말이다. 국어사전은 아직 이런 언어현실에 무심하다.

국어사전이 외면해온 것이 이런 ‘현대적’ 님만은 아니다. 지금처럼 ‘님’을 접미사로만 규정?놓으면, 오랜 세월에 걸쳐 수많은 노래에 등장해 온 ‘님’은 본적 불명의 말이 되고 만다. 이를테면 ‘님과 함께’ ‘님은 먼 곳에’ ‘내 님의 사랑’ ‘님을 위한 행진곡’ 같은 노래들의 그 ‘님’ 말이다. 만해 한용운의 저 유명한 시 ‘님의 침묵’의 ‘님’도 마찬가지다. 이 때의 ‘님’은 ‘사모하는 사람’이란 뜻을 지닌 명사다. 현대한국어사전은 이 경우에 ‘임’을 쓰라고 윽박지른다.

실질 형태소의 첫 음절이 /ㄴ/으로 시작하고 그 뒤에 바로 /ㅣ/ 계열의 홀소리가 올 경우에 그 /ㄴ/ 소리가 탈락한다는 이른바 두음법칙에 따른 것이긴 하지만, 이것은 언어 현실과 큰 차이가 있다. ‘임’은 사전이나 교과서 안에 보관돼 있는 일종의 ‘인공어’일 뿐, 한국인의 입에서 발설되는 것은 ‘님’이다. ‘님’은 중세 이래로, 어쩌면 고대 이래로 그저 ‘님’이었을 뿐 ‘임’은 아니었다. ‘가시리’의 화자는 “셜온 님 보내압노니 가시난닷 도셔오쇼셔”(설운 님 보내옵나니 가시자마자 돌아서 오소서)라고 애절히 노래했다.

중세어 ‘님’은 표준현대어 ‘임’의 뜻 외에 임금이나 임자라는 뜻을 지니고 있었다. 사실은 그것들이 일차적 뜻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셋은 깊은 곳에서 뜻이 서로 통하는 말이기도 하다. 임금은 사모의 대상이었고, 주인이었다. 정철의 미인곡 연작으로 대표되는 어용 가사문학에서 ‘사모하는 사람’으로서의 ‘님’은 임금으로서의 ‘님’이었다. 정철의 ‘님’은 권력을 나눠주는 사람이었고, 그래서 그의 님 노래를 듣는 것은 자주 따분하고 더러는 역겹다.

거기선 ‘가시리’의 ‘님’이 품고 있는 애틋한 울림이 없다. 그 애틋한 울림을 잇고 있는 것은 현대의 대중가요들이다. 대중가요의 영원한 주제가 사랑이니 만큼, 거기서 님이 그리도 자주 불려나오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 님이나 화자는 흔히 비를 맞고 있다.

비는 대지의 모든 곳을 적신다. ‘비 내리는 경부선’과 ‘비 내리는 명동 거리’가 있는가 하면, ‘비 내리는 호남선’도 있고, ‘비 내리는 영동교’도 있다. 비는 고모령에도 판문점에도 내린다. ‘어제 내린 비’, ‘빗물’, ‘빗속을 거닐며’, ‘봄비’, ‘빗속을 둘이서’, ‘비처럼 음악처럼’ 같은 노래들은 님(사랑)과 비를 포개는 기다란 대중가요 목록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이렇게 많은 노래가 비를 사랑의 수채화 물감으로 쓰고 있는 것을 보면, 내리는 비가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해 사람들을 감상에 휘둘리게 만든다는 속설이 그럴 듯하게 생각되기도 한다.

1970년대에 가수 이장희씨가 만든 ‘비의 나그네’도 비와 사랑을 포개고 있다. 노래 ‘비의 나그네’에서 화자가 님과 함께 있을 수 있는 것은 밤비가 내리는 동안뿐이다. 밤비가 내리는 소리는 님이 내게로 오는 ‘발자욱 소리’(‘발소리’라고 해야 할 것이다)와 포개지고, 밤비가 그치는 소리는 님이 내게서 떠나는 발자욱 소리와 포개진다. 그래서 화자는 밤비가 끝없이 내리기를 바란다. 그래야 님이 그의 곁에 계속 머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 노래에서 중요한 것은 비 못지않게 밤일지 모른다. 날이 샌 뒤 내리는 비는 이미 밤비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화자가 정말 바라는 것은 ‘끝없이 내리는’ 비가 아니라 ‘영원히 계속되는’, ‘결코 새지 않는’ 밤일지 모른다. 그 점에서 ‘비의 나그네’는 고려 속요 ‘만전춘 별사’에 닿아 있다.

어름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주글망뎡

정(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얼음 위의 댓잎 자리에서 얼어죽을 망정, 그 밤이 님과 정을 나누고 있는 밤인 이상 되도록 더디게 샜으면 좋겠다고 이 노래의 가인(歌人)은 말한다. 최고의 사랑은, 극도의 정열은 늘 이렇게 치명적이다. 객

원논설위원 aromachi@hk.co.kr

▲ 비의 나그네 / 이장희

님이 오시나보다

밤비 내리는 소리

님 발자욱 소리

밤비 내리는 소리

님이 가시나보다

밤비 그치는 소리

님 발자욱 소리

밤비 그치는 소리

밤비 따라 왔다가

밤비 따라 돌아가는

내 님은 비의 나그네

내려라 밤비야

내 님 오시게 내려라

주룩주룩 내려라

끝없이 내려라

님이 가시나보다

밤비 그치는 소리

님 발자욱 소리

밤비 그치는 소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