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신도시가 분양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면, 대우건설은 외환은행과 함께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을 휘몰아치고 있다. 건설업계의 선두권 주자인 대우건설을 인수할 경우 재계 판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건설 매각을 추진 중인 자산관리공사(캠코)는 예비입찰을 거쳐 1월 말 최종입찰 대상자로 금호아시아나, 두산, 한화, 프라임산업, 유진, 삼환기업 등 6개 기업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매출 5조원, 자산 5조원 규모의 대우건설 인수전은 3개 대형 그룹과 3개 중견그룹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양상이다.
채권단을 대표하는 캠코는 3월중 최종입찰 제안서를 접수해 4월까지 우선협상 대상자 1곳과 복수의 예비 협상대상자를 선정, 상반기 매각을 종결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대우건설 인수를 위해 본입찰에 참여한 6개 컨소시엄은 13일부터 6주간 일정으로 실사에 돌입했다. 하지만 대우건설 인수작업은 대우건설 노조측의 반발로 20일에 이어 21일에도 6개 업체의 현장실사가 미뤄지면서 지연되고 있다. 당초 13일부터 온라인 실사를 벌인데 이어 20일부터 6개 컨소시엄이 각각 3일씩 나눠 18일 동안 현장실사를 벌일 예정이었다.
캠코는 당초 ‘50%+1주’에서 22%를 더한 72%를 일괄 매각한다는 입장이어서 인수예상 금액이 4조5,000억∼5조원대로 껑충 뛰었다. 이에 따라 대우건설 인수에 자금력이 가장 큰 변수로 등장했다. 그러나 자금력 외에 인수기업의 재무구조와 시너지 효과 등도 꼼꼼히 따져본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단순히 높은 금액을 써내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수 후보사들간 경쟁사 흠집 내기 등 장외 경쟁도 치열하다.
캠코는 매각 공정성을 위해 예비입찰에서 떨어진 곳이 컨소시엄을 바꿔 본입찰에 참여할 때는 대우건설 매각주주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최종입찰 뒤에도 자금조달 과정을 지켜보는 등 선정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다. 대우건설 인수 후보 기업들의 인수 참여 이유 등을 알아본다.
김혁기자 hyuk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