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사망 사건의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해 공석이 된 경찰청장과 서울경찰청장 후보자가 내정됐다. 한 시위에서 농민 2명이 숨진 것이나, 이로 인해 경찰 수뇌부가 동반사퇴한 것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일이었다. 새 치안총수가 가장 먼저 팔을 걷어붙여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전ㆍ의경 부모들이 폭력시위에 항의하기 위해 시위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 복무하고 있는 전ㆍ의경들이 폭력 진압자로 몰려 이중의 피해를 겪고 있다”는 하소연은 가슴에 와 닿는다.
농민뿐 아니라 시위를 명령에 따라 진압해야 하는 전ㆍ의경도 피해자이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시위진압 도중 부상한 전ㆍ의경은 3,000여 명이나 된다.
이들의 사기를 북돋워주고 폭력시위 추방의 계기로 삼자는 부모들의 주장은 충분히 공감할 만 하다. 그러나 전ㆍ의경 부모들의 항의집회가 사회적 갈등 양상으로 번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칫하면 다시 농민과 전ㆍ의경 부모간 갈등으로 비화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농민단체가 진압 도중 부상한 전ㆍ의경을 위문할 계획이라는 소식은 반갑다.
중요한 건 시위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집회현장에서 매맞는 시위대와 전ㆍ의경이 계속 나올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폭력시위와 폭력진압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하는 일차적인 책임은 당연히 정부에 있다.
평화적인 시위는 보장하면서도 폭력시위에 대해서는 엄중히 법적 책임을 묻는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제도와 규범을 만들어야 한다. 정부와 경찰, 관련 시민단체 등이 폭력시위 추방 사회협약을 만드는 방안도 검토할 만 하다.
숨진 농민들이나 전ㆍ의경들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사회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새 경찰 수뇌부는 앞장서서 평화시위 문화 정착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