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들들이 왜 이런 피해를 당해야 하나요.”
최근 집회 중 사망한 농민 사건의 책임을 지고 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가 물러난 가운데 일선에서 시위를 막는 전경(전투경찰)ㆍ의경(의무경찰)의 부모들이 폭력시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개설된 카페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ㆍ의경 부모들은 7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폭력시위에 대한 항의집회를 열기로 했다.
이들은 아직 집회신고서를 관할서에 제출하지는 않았지만 집회에 참석할 사람들을 모집하면서 당일 필요한 물품들을 준비 중이다. 이들은 집회에서 불법폭력시위 추방과 폴리스라인 준수를 요구하는 전단지를 나눠주고 불법시위 화면 자료를 전시할 계획이다.
아들이 서울의 기동대에서 복무 중이라는 카페 운영자는 “집회현장에서 우리 아들들이 비참하게 다치고 있지만 ‘폭력진압’이라는 오명만 뒤집어 쓰고 있다”며 “몸까지 다쳐가며 고생은 고생대로 하는 아들을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 운영자는 또 “아들이 밤새 시위대와 대치하다 길에서 떨며 밥을 먹는 것을 보고 지나던 시민들로부터 ‘개죽을 먹냐’는 놀림을 받은 적도 있다고 한다”면서 “우리 아들이 개 취급까지 받아야 하는 거냐”고 말했다.
전ㆍ의경 부모 모임의 다른 회원은 “11월 부산에서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반대 시위대와 충돌 후 상대적으로 덜 다친 전ㆍ의경들이 제대로 휴식을 취할 여유도 없이 11월 서울 여의도동 농민 시위 현장에 다시 투입됐다 ”며 “이제는 경찰병원에 자리가 없어 팔 다리 깁스 정도의 부상을 당한 아이들은 입원할 곳도 없을 정도”라고 울분을 터뜨렸다.
이화여대 법학과 김유환 교수는 “과거 시위는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저항의 의미가 강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불법적 행위가 있어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분위기였지만 현재 시위는 집단의 이익표출행위 성격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또 “이런 상황에서 집단시위가 정당성을 얻으려면 타 사회구성원들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폭력시위와 강경진압이 되풀이되는 상황에서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 김 교수는“경찰은 강경진압을 자제하되 사후 엄격한 법적책임을 묻고 시위대는 폭력시위를 줄여가며 자신들의 의견을 평화적으로 주장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전국에는 지원자들로 구성된 의경이 약 3만명, 육군 입영 후 전환 복무하는 전경이 1만7,000명 가량 근무하고 있으며 지난해 시위현장에서 다친 전ㆍ의경 수는 다 합쳐 747명(중상 138명ㆍ경상 609명)에 이른다.
박상진 기자 okome@hk.co.kr
■ 네티즌 91% "폭력시위 엄단해야"
KBS_1라디오의 ‘KBS 열린 토론’이 3일 ‘평화적 시위문화 정착, 대안은’이라는 주제의 방송에 맞춰 포털 사이트 엠파스를 통해 실시한 인터넷 여론조사에서 ‘폭력시위 엄단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왔다.
2일부터 3일 오후 4시까지 계속된 여론조사에서 평화적 시위문화를 위한 대안으로 꼽은 답은 ‘시위대의 폭력시위 엄단’이 91%(326명)였고 ‘경찰의 강압적 진압방식 개선’이 9%(32명)였다.
토론방엔 “우리나라 경찰관은 인권도 없다. 경찰관이 몇이나 죽어나가야 인권을 생각할 것인가” “폭력시위를 주도한 농민단체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 등의 의견이 올라와 있다.
고찬유 기자 jutda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