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람들은 밤마다 펄펄 끓는 방바닥 위에서 빵처럼 구워지는 게 습관이 되어 있다. 방바닥이 너무 뜨거워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서 문을 열어 젖혔다” 1904년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방문했던 스웨덴 기자 아손 크렙스트는 첫날밤을 온돌방에서 보낸 소감을 여행기에서 이렇게 적었다.
이보다 3년 앞서 조선을 여행했던 독일 지리학자 지그프리트 겐터는 온돌이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매우 우수한 난방방식이라고 평했다. 입식(立式)문화에 익숙한 이방인들에게 온돌은 매우 신기하고 효율적인 난방법이었다.
▦한민족의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김치와 온돌이 꼽힌다. 옥스퍼드 사전에 ‘ondol’이란 단어가 등재돼 있을 만큼 그 독창성을 인정 받고 있다.
추운 북쪽 지방인 고구려에서 사용되던 것이 점차 남하해 조선시대 초기 한반도 전역에 전파됐다. 중국 일본 거란 말갈 등 주변 민족 가운데 온돌을 사용하는 민족은 없다. 온돌의 유무가 한반도 문화권을 가르는 기준이 될 정도다. 8월 러시아 연해주에서 온돌유적이 발견돼 발해의 고구려 계승사실을 입증하기도 했다.
▦중국 상하이에 온돌이 또 다른 한류문화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소식이다. 최근 신축중인 아파트의 상당수는 아예 처음부터 한국식 온돌을 설치해 현지에 진출한 우리 업체들이 신바람이 났다.
겨울철 기온이 낮은 화북지역에서는 온돌난방이 아파트 분양의 필수조건이 되다시피 했다. 미국에서도 온돌상품이 선보이고 있다. 화장실의 타일 밑에 가는 전선으로 바닥을 데워 엄마와 아이가 가운을 걸치고 바닥에 앉아있는 광고가 등장했다. ‘미니 온돌’이라는 이름으로 소형 전기담요가 백화점에 판매되고 있다.
▦요즘의 온돌은 방고래와 구들장이 필요 없이 온수 파이프가 깔린 개량 온돌이다. 전통온돌의 특징인 아랫목과 윗목의 개념이 사라졌지만 우리나라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고유하고도 자랑스런 건축 기술이다. 그러나 우리의 온돌연구와 응용 수준은 제자리를 면치 못하고 있다.
독일과 일본에서는 온돌의 원리를 이용한 ‘온돌마루’라는 걸 만들어 상용화에 성공했다. 프랑스도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국립연구소에서 온돌을 연구하고 있다. 자칫하면 온돌문화의 종주국 자리를 조만간 내어줘야 할지 모른다.
이충재 논설위원 cj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