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기고/ 생명공학 발전 계기로 만들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기고/ 생명공학 발전 계기로 만들자

입력
2005.12.01 00:00
0 0

그동안 생명윤리 논란에 휩싸였던 난자확보 과정의 의혹에 대해 황우석 교수가 솔직히 밝히고 국민의 이해를 구한 것은 참으로 잘한 일이다.

한때 지구촌을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세기적 연구 성과를 이룬 토종 과학자를 연구 외적인 문제로 인해 일순간에 죄인시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참담한 심정을 금할 길이 없었다. 왜 우리는 세계적인 연구자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고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도록 했는가?

이제 황 교수가 하루빨리 충격에서 벗어나 국보급 과학자로서의 진가를 다시 한번 발휘해 주기를 바란다. 이번 논란의 와중에서도 연이은 국제 저명 학술상 시상과 금년도 최고과학지도자의 반열에 올려놓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학술지의 결정은 황 교수의 탁월한 과학적 연구 성과 때문이 아니겠는가.

배아줄기세포의 획득은 인간의 난자와 배아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생명윤리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도 난자가 사용되고 있고, 또 앞으로도 사용되어야 한다. 물론 성체줄기세포를 통해 일부 질환을 치료할 가능성도 있지만 그 활용범위의 한계 때문에 배아와 성체줄기세포 양쪽 모두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대부분의 생의학적 연구에는 피할 수 없는 생명윤리적 논란이 있어 왔다. 1960년대에 시도된 장기이식은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이 처음부터 선뜻 이 새로운 치료기술을 받아들였을까?

백혈병 어린이에게 새 희망을 주는 골수이식이 과연 처음부터 획기적인 치료기술로 인식되었을까? 또 1970년대 말 최초 시험관 아기 탄생 시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생명윤리 논란을 우리는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지금은 마치 재조합 DNA 기술이 생명공학연구에 처음 도입된 1970년대 중반의 사태와 흡사하다. 사회 규범이나 법규가 과학적 진전을 따라가지 못하는 혼란스러운 와중에서 빚어진 것이다. 황 교수의 이번 어려움도 개척자들이 겪는 시련의 과정이라고 본다.

차제에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폭넓은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확실한 실험지침, 규정, 법규를 정비하고, 이를 연구자들에게 널리 주지, 홍보함으로써 다시는 연구자가 있지도 않은 기준에 묶여 죄인 취급당하는 연구 이외의 일로 고통받는 일이 없도록 하자.

지난달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가 ‘생명과학연구자 윤리헌장’을 제정ㆍ선포한 것은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자정 노력을 보인 과학자들의 참모습이었다. 연구의 윤리적 투명성 확보를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또한, 줄기세포는 세계 거대기업들이 눈독을 들일 만큼 잠재 시장이 엄청나고 그만큼 기술개발 경쟁 또한 치열하다. 특히 황 교수가 개발한 치료복제기술은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우리가 기술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생명공학기술 중의 하나다. 지금은 선진국의 기술패권주의에 대한 치밀한 국가적 대비가 시급한 때이다.

과학 국수주의는 배격하되, 최소한 기초 원천기술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까지 연구내용의 철저한 보안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허ㆍ윤리ㆍ법률 고문단’과 같은 전문가 집단의 배치나, 영국처럼 이를 종합 관리할 국가 차원의 기구 설치도 고려해볼 만하다.

정부는 관련 법체계와 보편적 윤리규정을 정비하고, 연구자는 이를 지켜나감으로써 글로벌 기준으로 업그레이드된 연구토양을 만들자. 그래서 이번 위기가 선진 생명공학 연구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박상대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