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결속력이 급속히 약화하는 가운데 민주노총이 다음달 1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총파업 찬반 투표에서는 겨우 51%가 참여해 64.2%가 찬성한 상태다.
더구나 현대ㆍ기아자동차ㆍ철도 노조 등 주요 단위노조가 불참을 밝히고 있어, 총파업의 파장도 그리 위력적이지는 않을 듯하다. 최근 이수호 위원장에 이어 ‘대화와 투쟁’을 주장하며 온건노선을 견지하던 산하의 전교조 이수일 위원장 역시 사퇴한 마당이어서, 노조 분위기는 어수선할 뿐이다.
민노총은 이번 총파업의 명분으로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쟁취’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노조 간부들의 잇단 비리사건으로 인한 지지기반의 상실과 국민적 불신을 타개하고 반전시키기 위한 정치적 파업의 성격이 짙어 보인다. 정부는 이미 이번 총파업을 정치적 목적의 불법파업으로 규정하고 강경 대응할 방침을 밝히고 있다.
총파업을 앞두고 특히 우려되는 것은, 온건파 지도부가 차례로 밀려나고 강경파들이 주도권을 잡은 뒤 강수를 펴는 점이다. 민노총은 지금 정치투쟁을 펼 때가 아니다.
절박한 것은 노동귀족 같은 직업적 운동가들이 개입된 구조적 비리를 철저하게 반성하고, 보다 소박한 민주ㆍ현장중심적 노조로 돌아가는 일이다. 초대 위원장 출신의 권영길 의원도 최근 민노총의 관료ㆍ관성화를 개탄한 바 있다.
어느 때보다도 낮은 조직원의 지지 속에 이뤄질 총파업이 제대로 성사될 지도 의심스럽지만, 강경파 지도부의 고립만 자초할 가능성이 높다.
민노총이 정말 비정규직 보호에 지대한 관심이 있다면 노사정위원회로 복귀해서 의견을 명료하게 개진하고 관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기아ㆍ현대자동차 노조의 판단은 현실적이고 현명했다. 지도부가 강경투쟁을 고집하면 위기는 더 심화할 뿐이다. 조직의 투명ㆍ민주성 회복만이 활로가 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