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는 24일 윤리논란의 쟁점을 모두 사실로 인정하고 사죄했다. 그에 따르면 연구원 난자기증과 보상금 지급은 ‘처음엔 몰랐고 나중엔 차마 밝힐 수 없었던 일’이었다.
그는 “지금쯤 연구를 시작해 똑 같은 과정을 밟았더라면 윤리문제와 같은 오판이나 실수는 없었을 것”이라며 가슴을 쳤다. 그의 마지막 말은 “어린 과학도가 꿈을 꺾지 않도록 해달라”는 것이었다.
●연구원 기증
황 교수는 두 연구원의 난자기증을 인정하며 “연구원이 먼저 난자를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아직 결혼도 하지 않은 대학원생이어서 받아들일 수 없었고, 그 뒤에도 난자 제공 의사를 2번 더 밝혔으나 거절했다. 또 다른 여성연구원 한명도 약 1개월 반 후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고 진상을 밝혔다.
황 교수는 2004년 5월 네이처지 기자의 사실확인 때 “기증 당시엔 몰랐지만 결국 밝혔어야 했음에도 제공자 한명이 매우 강력히 프라이버시 보호를 요청했고, 나 모르게 벌어진 일 때문에 윤리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이 답답해 사실과 달리 답변했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원 자신이 난자 제공이 윤리적으로 문제된다는 것 자체를 몰랐다.
사실 나도 몰랐다. 이 자리의 의대 교수들도 ‘헬싱키 선언’이라는 걸 윤리문제가 본격화한 근년에서야 알았을 것이다. 이 연구원이 사실을 그대로 이야기했는데 자꾸 꼬치꼬치 묻기에 크게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어 부인했다고 한다.
당시 그는 전일제 연구원이 아니어서 네이처 기자의 전화 후 하루 반 만에 만났고, 자세한 상황은 열흘 전 남편과 함께 찾아왔을 때 들었다”고 정황을 설명했다. 황 교수는 “돌이켜 보면 당시 사실을 있는 대로 털어놓았다면 국민 여러분에게 지금 같은 염려를 드리지 않아도 됐을 텐데 하는 후회가 든다”고 말했다.
●보상금 지급 난자
“2004년 2월 논문발표 당시 난자기증에 어떤 보상도 없었다”고 밝혔던 황 교수는 미즈메디 병원에서 보상금을 주고 난자를 채취한 사실을 10월말 방송 프로그램 취재과정에서 알았다.
황 교수는 “1~2개도 아닌 많은 난자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일부라도 특별하게 조달되지 않겠나 의구심은 있었으나 노 이사장이 특유의 솔직 담백한 어투로 ‘이 일은 내가 책임진 일 이잖아. 당신 몫이나 하면 되는 거요’라고 말했다”며 “내가 의사가 아니어서 난자 채취 과정에 관여할 수 없고 고유번호 외에 다른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노 이사장 특허지분
노 이사장이 갖게 된 40%의 특허지분에 대해서는 “배아줄기세포 추출과 난자 제공이라는 중요한 기여에 대한 당연한 보상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처음 50%를 제안했다가 우리 학교가 국립 기관이어서 국가를 대신해 서울대 산학재단이 특허권을 갖게 되는데 50 대 50은 충돌 우려가 있어 나중에 노 이사장에게 40%로 줄여달라고 했고 서울대 산학재단이 60%를 갖도록 했다”고 밝혔다.
●섀튼 박사 관계
황 교수는 “섀튼 박사는 연구의 전체 흐름을 잡고 과학적으로 해석했으며, 그가 가진 국제적 네트워크도 큰 도움이 됐다. (결별선언의) 정확한 이유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나름대로 불가피한 사연이 있을 것이다. 문제가 해결되면 다시 우정을 되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는 매우 슬프고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서운함을 비쳤다.
미국 피츠버그대학 섀튼 박사 연구실에 소속된 3명의 한국 연구원의 거취에 대해서는 “모두 내가 추천했으나 한 명을 빼고는 소속 자체가 피츠버그대”라며 “그들의 거취는 피츠버그의대, 섀튼 박사, 무엇보다 자신들의 판단에 따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거취
황 교수는 “줄기세포 소장직을 비롯한 안팎의 직함 사퇴문제는 한 시간 전 혼자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직에서도 사퇴해야 하는 게 아닌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지만 그러면 국민 여러분의 성원에 보답하는 길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며 “연구의 큰 그림은 새로 선정될 연구책임자의 몫이지만 내 실험실에서 풀지 못한 몇 건을 해결하는 것이 속죄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h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