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김치 파동을 두고 중국 정부의 신경이 많이 날카로워져 있다.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한국 정부의 중국산 김치 관련 발표에 불만을 표하면서 모종의 대응조치를 경고했다. 때마침 중국의 통관당국이 한국산 땀냄새 제거용 화장품에 대한 예비조사에 들어가 통상마찰 우려까지 낳고 있다.
국내에서는 정부 당국의 굼뜬 행동이 문제가 됐다는 점에서 중국의 주장은 다소 엉뚱하게 들린다. 또 국민 건강과 직결된 긴박한 사안인 만큼 매끄러운 절차를 고집할 일도 아니다.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 알이 검출됐다는 발표를 하기 직전 정부는 중국에 이를 알렸다. 중국은 자체조사가 끝날 때까지 발표를 늦춰 달라고 요청했다. 그런 요청이 거절 당한 셈이니 중국이 불쾌감을 가질 수는 있다. 더욱이 “중국산만 의도적으로 나쁜 것처럼 발표했다”는 지적에는 많은 주의를 기울일 만하다.
7월 이후 장어 등 중국산 양식 민물고기에서 발암성 물질인 말라카이트 그린이 잇따라 검출돼 비상이 걸렸다. 이어 중국산 김치의 납 오염 논란이 일었다.
그런데 국내 수산ㆍ축산업의 항생제 남용이 거론되고, 송어와 향어의 말라카이트 그린 오염 사실이 드러나면서 ‘중국산 위해론’이 무색해졌다. 중국산 김치에서 기생충 알이 나온 후 식품 안전 논의는 다시 ‘중국산’을 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의도적’이라는 의심이 터무니없진 않다.
물론 중국의 이런 꼬투리잡기에 밀릴 이유는 없다. 현재까지 기생충 알이 검출되지 않는 등 국내산 김치의 안전성 우위가 확고하다. 다만 일단 통상마찰이 일어나면 원인을 따질 겨를도 없이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기 때문에 원만한 사전 해결이 상책이다.
따라서 정부는 성실하고, 성의 있는 설명을 통해 중국 정부의 이해를 얻는 데 힘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통의 잣대에 의해 식품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일 뿐 중국산을 차별 대우하는 것이 아니라는 분명한 인상을 심어주어야 한다.
또 그런 공통잣대에 의한 철저한 검사야말로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을 일깨우는 길이다. 식품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자칫 ‘중국산’에 대한 경계심 고조로 소진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