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량주식 품귀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공기업 등의 상장 추진 방침을 밝혔지만, 물량 부담이 우려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5일 국회 재경위 국정감사에서 “민영화를 추진 중인 공기업의 상장을 적극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증권선물거래소 이영탁 이사장도 공기업과 10대 그룹 계열 비상장사 등 우량기업 상장계획을 발표했다. 증시가 비록 활황세지만, 공급물량이 지나치게 부족하면 기업 자금조달 창구로서의 증권시장 기능이 약화하고 버블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투자증권 김세중 연구원은 6일 “1980년대 후반의 강세장이 공기업 민영화에 따른 대규모 주식 공급으로 한계를 맞았던 경험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우량기업 상장정책의 부작용을 우려했다. 김 연구원은 “유통물량 고갈은 보기 나름”이라며 “그동안 ‘보유’에 치중하던 외국인이 최근 주식을 계속 팔고 있어 유통물량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증시에서 외국인의 보유비중(41%)이 해외 각국의 평균 수준을 크게 초과, 외국인 보유비중은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또 "지난해 기업공개와 유상증자를 합한 자금조달 규모가 시가총액의 3.8%로 홍콩에 이어 가장 높았다”면서 “증시로의 자금 유입이 이제 막 시작되는 단계에서 공급물량의 급격한 확대는 과거처럼 증시에 커다란 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먼저 외국인의 물량을 소화한 후 공급물량을 단계적으로 늘려가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SK증권 현정환 연구원도 “당분간은 수급 측면에서 국내 기관이 외국인 매물을 받아가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대형 공기업의 상장은 외국인 매물이 어느 정도 소화되고 주가가 안정권에 접어든 다음에 해도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