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부 인사가 6.25 이후 처음으로 국립현충원을 참배키로 하면서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의 국립묘지에 해당하는 곳은 김일성 전 주석의 유해가 안치된 금수산기념궁전을 비롯해 애국열사릉과 혁명열사릉이 있지만, 남측 정부 인사가 방문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이들 묘역은 남북 양측의 정통성 및 체제와 직결돼 있을 뿐 아니라 상호 총칼을 겨눴던 역사의 상흔이 맺힌 곳으로 서로 건드릴 수 없는 ‘금기’의 장소였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전까지는 이 묘소에 대한 민간인의 참배 자체도 ‘반국가활동’이었다. 1998년 문규현 신부가 방북 중 금수산기념궁전을 참배한 일 등으로 구속됐으며, 99년에도 민주노총이 남북노동자대회 참석차 방북했다가 애국열사릉 등을 참관한 이유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때는 이부영 당시 민주당 의원이 조문 방문 검토를 주장했다가 여당의 거센 반발과 상이군경의 항의와 집회 등을 불러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이후 남북관계가 진전되면서 2001년 6.15 기념 행사 때 남측 민간대표단이 애국열사릉을 참관하는 등 일부 묘역에 대한 민간인 참배는 더 이상 문제되지 않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정부 인사의 방문이나 김 전 주석의 유해가 있는 금수산기념궁전 참배는 여전히 풀기 힘든 과제로 남아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북측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금수산기념궁전 참배를 요구해 김 전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느라 정상회담이 하루 늦게 열린 사실도 뒤늦게 확인됐다. 지난해엔 북측이 통일부의 김 전 주석 10주기 조문 방문 불허에 반발, 한동안 남북 관계가 꼬이기도 했다.
북한 정부가 이번에 먼저 ‘금기의 문’을 열고 나옴에 따라 우리 정부도 ‘남북화해’라는 큰 흐름 속에서 참배를 선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국민 여론이 어느 정도 뒷받침되느냐다. 이봉조 통일부 차관은 “북측의 방문은 불행했던 과거의 상처를 함께 치유해 나가는 출발점이라는 역사적 의의가 있다”며 “(우리 정부의 방문은) 검토해 본 적이 없으나 상황이 되면 그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용창 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