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이란·사우디發 중동위기 '유가 비상'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이란·사우디發 중동위기 '유가 비상'

입력
2005.08.09 00:00
0 0

세계가 연일 중동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다. 이번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서 세계 경제와 정치의 긴장을 높이는 쪽으로 악재가 급팽창하는 중이다. 이라크 사태는 헌법초안 문제가 현안으로 등장했으나, 8월 들어 소강상태인 것으로 보인다.

왕위계승 갈등이 잠복해 있는 사우디에서는 테러공포가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이란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유화 제스처에도 불구, 우라늄 농축의 재개를 선언했다.

두 사태는 중동 정치지형과 석유수급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런 우려로 8일 미 서부텍사스 중질유(WTI) 9월 인도분은 다시 사상 최고가인 배럴당 63.94 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국내 도입원유의 70%를 차지하는 두바이유도 55달러를 돌파했다. 사우디는 세계 석유생산량의 14%를, 이란은 석유수출국기구(OPEC)내 생산 2위를 차지한다.

지난해 11월 핵 시설 가동을 중단한 이란은 8일 우라늄 전환시설을 재가동했다고 발표, EU의 중재노력을 무위로 돌렸다. 2년간 진행된 협상의 사실상 실패는 강경파인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취임한지 이틀 만이다.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은 또 핵 협상을 주도한 중도온건파 로하니를 경질하고 강경파를 임명키로 해, 사태는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란 핵 프로그램의 가동은 중동 전체의 역학관계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훨씬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앞서 미국에서 거론된 이스라엘을 통한 이란 핵 시설 공습론이 다시 부상할 수도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9일 긴급이사회를 열어 이란에 최후통첩을 보낸 뒤 다음 회의에서 유엔안보리 회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파드 국왕 서거로 1일 왕위에 오른 사우디의 압둘라 왕은 테러문제로 1차 검증대에 올랐다. 미국이 테러임박을 이유로 8, 9일 공관을 폐쇄했고, 호주 영국 독일은 무장세력의 테러공격이 최종단계에 접어들었다고 경고수위를 높였다.

서방 정보기관들은 지다 등 외국인 시설이 집중된 지역이나 석유시설에 대한 테러를 우려하고 있다. 이번 경고는 테러세력이 대상을 사우디 등 중동으로 선회했다는 분석 속에 나온 것이다.

테러세력은 ‘성서격동(聲西擊東)’식으로 사우디를 공격, 사우디 원유 의존도가 높은 서방에 경제타격을 줄 수 있다. 반미ㆍ반왕정 정서를 자극, 정치불안을 야기해도 타격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

더구나 왕위계승을 둘러싼 왕족간 불화는 테러세력이 입지를 확대할 절호의 기회다. 사우디는 이런 우려 때문에 2001년 9ㆍ11사태 이후 대테러 전쟁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기도 했다. 무장세력에 대한 압박강화는 2003년 35명이 숨진 리야드 폭탄테러 이후에 이뤄졌다.

그러나 오사마 빈 라덴을 배출한 사우디 극단세력은 이라크에서 자살폭탄 공격을 감행하는 등 여전히 강경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1980년대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나고 그랬듯이 이라크 사태에서 생존한 무장세력이 사우디로 귀환하면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압둘라 국왕은 8일 2년 전 자신의 암살을 기도한 리비아인 3명의 석방을 결정한 뒤 중동의 결속을 강조, 압박보다는 유화책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태규기자 t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