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6자 회담의 주도권 챙기기에 나서고 있다. 최근 중국의 움직임에선 회담 의장국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읽혀진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대북 전력공급 계획에 대해서도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있다. 에너지지원은 지금까지 중국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렛대였다. 한국의 계획이 실행될 경우 이 같은 독점적 지위는 크게 흔들리게 된다.
관영 신화통신이 14일 콘돌리사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의 한국ㆍ중국ㆍ일본 순방을 결산하는 기사에서 “라이스 장관의 가장 중요한 방문국은 중국이었을 것”이라면서“중국이 회담 재개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라이스 장관의 발언을 소개한 것도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사실 중국은 최근 1~2주 동안 치밀한 회담 중재 노력을 기울여왔다. 우선 워싱턴에서 있었던 북_미 접촉 후 즉각 베이징에서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과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ㆍ태 차관보가 비밀 협상을 벌여 6자회담 재개에 합의했고, 때맞춰 라이스 장관이 베이징에 도착했다.
라이스 장관의 중국 도착 사흘 뒤에는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국무위원이 평양을 방문, 1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후진타오(胡錦濤) 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구두친서를 전달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마음이 마냥 편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6자회담 재개의 동력이 표면적으로나마 북_미 양자 접촉으로 넘어갔고, 앞으로 나올지 모를 가시적인 성과도 결국 북_미간의 협상에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북한의 에너지 공급에 한국이 주도적인 지위로 부상하면서 중국의 대 북한 견제 수단이었던 전력과 식량 중 한 축을 내놓아야 할 지 모른다는 점에 은근히 신경을 세우고 있다.
사실 중국이 북한에 제공했던 식량이나 에너지 무상원조는 중단된 지 몇 년이 지나 영향력에 한계가 있었다. 중국과 북한은 압록강과 두만강 수계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공유하고 있고 일부 석유자원은 중국에서 생산된 것을 북한에서 가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다만 6자회담이 난관에 봉착하고 장기화할 경우 중국의 역할은 다시 주목받을 수 밖에 없다. 중국 정부도 이에 대비한 포석을 하나씩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송대수 특파원 dss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