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를 수여하는 영리목적의 사설 교육기관이 최근 미국에서 급팽창하고 있으나 교육의 질이나 졸업 후 취업 등 전반적인 학사운영에서는 문제의 소지가 많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 보도했다.
‘상업학교(commercial institutions)’는 ‘○○칼리지’ ‘○○스쿨’ ‘○○인스티튜트’ 등의 간판을 내걸고 학위까지 수여하지만 교육과정은 정규대학과는 판이하게 경영, 요리, 디자인, 의료기술자, 변호사 보조원 등 실무 직업교육을 위주로 하는 전문 교육기관이다.
이 신문은 상업학교로 통칭되는 교육기관들이 정규교육을 받지 못한 저소득층이나 시간을 내기 힘든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직업교육을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출발했으나, 학생들을 확보해 정부의 지원을 끌어내는 쪽으로만 치우쳐 불법적 관행을 저지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미국 전역에서 상업학교의 등록 학생 수는 2002년 60만 명에 달해 1995년보다 무려 147% 증가했다. 뉴욕의 경우 1999~2004년 정규대학의 학생은 15% 미만의 증가에 그친 반면 상업학교 학생은 46% 증가해 4만 4,000명을 넘어섰다. 일부 학교는 전국적으로 수십 곳의 캠퍼스에 학생이 수십 만 명에 이르기도 한다.
상업학교가 번창하는 데는 철저한 취업위주의 실무교육을 하고 입학자격이 느슨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지하철과 버스를 도배하다시피 한 대대적 광고 공세도 정규교육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눈을 끄는데 한몫 한다.
그러나 상업학교 중 적지 않은 수가 지키지 못할 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 약속을 앞세워 학생을 선발하고 취업 전망에 대해서도 과장 광고를 서슴지 않아 피해가 적지 않다. 최근 뉴욕주 감사관실이 4곳의 상업학교를 조사한 결과 2곳에서 재정지원과 관련한 비리가 정규대학보다 8배나 많았다.
교육의 질도 문제다. 정규대학과 달리 학생들 대부분이 직장인이나 고교 미수료자이어서 전반적으로 학력이 떨어지고, 교수진도 학위 소유자보다는 실무경험자로 충당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때문에 커리큘럼이 학생들의 개인사정에 따라 제각각이고 학사범위도 상당히 협소하게 진행되기 일쑤이다.
뉴욕 퀸스에 있는 라과디아 커뮤니티 칼리지의 게일 멜로 학장은 “같은 지역의 한 상업학교가 문을 닫아 학생들을 떠맡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치렀지만 3학년에 진학할 학생들이 기초 배치고사 조차 통과하지 못해 포기했다”고 밝혔다.
졸업 후 취업 성적도 실망스럽다. 졸업생들이 올바른 진로를 찾았는지를 판단케 하는 지표 중 하나인 정부지원 학자금 상환 실태를 보면 2002년 상업학교 졸업생들의 상환 실패율은 9%로 정규대학의 5%, 비영리 공공 교육기관의 3%보다 훨씬 높았다.
상업학교에는 한국계를 포함한 아시아계, 흑인, 히스패닉 등 소수 민족이 많이 다니고 있다
황유석 기자 aquariu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