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중대제안은 금년 1월 검토되기 시작, 2월 중순 ‘안중근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확정됐다. 노무현 대통령에 보고된 때는 북한의 핵 보유 선언(2월12일) 직후인 2월15일. 5개월간 철통 보안이 유지된 셈이다.
당시 미국과 일본이 경수로 사업의 종료를 요구하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 정부는 북한의 핵 폐기를 유도할 대체 방안이 무엇이냐를 놓고 고민을 거듭했다. 이 과정에서 1월 하순 북핵 문제와 전력 직접 송전을 연계하는 발상이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으로부터 나왔다.
정동영 통일부장관은 이를 보고 받고 ‘안중근 계획’으로 명명하고 구체적 내용 마련을 지시했다. ‘안중근’이란 이름을 붙인 까닭은 대북 제안이라는 점을 유추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NSC 지휘 아래 외교ㆍ안보 부처들은 ▦북한의 핵 폐기 시 남측 전력제공 ▦핵 폐기 합의부터 핵 폐기 완료까지 3년 소요 ▦경수로 사업 종료 등 3원칙을 중대제안의 골자로 확정했다.
한국전력 관계자들과 기술적 문제 등도 상의했다. 그러나 한전측에는 중대제안에 대한 배경 설명은 해주지 않았다. 중대제안은 노 대통령과 이해찬 총리, 정 장관을 포함해 10여명만이 아는 극비사안으로 다뤄졌다.
중대제안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금년 5월. 남북당국간 회담에서 이봉조 남측 수석대표가 북측에 “중요한 제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기 때문. 하지만 이 차관도 당시에는 구체적 내용은 몰랐다고 한다.
6월11일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노 대통령은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에게 전력 직접 송전을 설명하지 않았다. 정동영 장관이 6월17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중대제안을 설명한 다음날(18일) 이종석 NSC 차장이 방한 중이던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에게 설명하면서 처음으로 미국에 알렸다.
정부는 이어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나머지 6자회담 참가국들에게도 설명했고 북미간 6자회담 재개가 합의된 후 12일 국민에 공개했다.
김광덕 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