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앞 거리, 한 무리의 여성들이 지나간다. 그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나 우울해!” 언제부턴가 우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어디서든 하루 한 번 이상 우울한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어느 순간 회의가 들기 시작했다. 모두 뭐가 그렇게 우울한 걸까? 딱히 우울한 상황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확실한 계기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습관처럼 우울하다는 말이 나온다. 진짜 우울해서 우울하다는 말을 하게 되는 건지, 우울하다는 말을 하기 때문에 우울해지는 건지 분간을 할 수 없었다.
결국 감정상태를 탐구하기에 이르렀고, ‘제임스_랑게 이론’이라는 심리학 이론을 찾아냈다. 이 이론에 의하면 정서가 신체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신체 반응이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즉 슬퍼서 눈물이 나는 게 아니라 눈물이 나서 슬퍼진다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가 앓고 있는 우울증 역시 ‘우울하다’고 말하는 순간 생기는 감정인지도 모른다.
이런 사실을 간파한 뒤에 한 가지 실험을 시작했다. ‘우울하다’는 말 대신 ‘행복하다’고 말하고, 우울한 감정에 몰입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까를 연구하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신기한 일이 일어났다. 며칠이 지나지 않아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심장이 터질 것 같은 행복은 아니지만 급변하던 감정의 회오리가 사라지고 잔잔한 일상의 평화가 찾아왔다.
빈번한 자살과 흉흉한 범죄 속에서 사람들은 세상이 우울하다고 말한다. 우울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두 우울해지는 것이라고.
그렇지만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우울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현재 상황에 대한 푸념만을 늘어놓을 뿐,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우울해지고 싶어 안달이 난 사람처럼 ‘우울하다’는 말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우울하다’라는 생각을 ‘우울하지만 어떻게 행복해질까’로 바꿔 생각해보았다. 작은 전환이 행복을 가져왔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행복을 주리라 믿는다. 마냥 감정에 빠져있다가는 그것에서 헤어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불유쾌한 상황을 벗어나려는 의지다. 지금 이 순간 우울함을 외치는 그대에게 묻고 싶다. 당신은 내일도 우울할 생각입니까.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