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 ‘통합논술 입시안’이 교육인적자원부와 정면 충돌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고 있다.
교육부 정책의 핵심인 ‘공교육 활성화’와 서울대의 ‘신입생 변별력 확보’가 대립하고 있지만 사실 국가 경쟁력 제고라는 큰 틀에서 보면 두 가치 모두 교육 현실에 근거했다고 보기 어렵다.
교육부는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다는 이유로 수능 등급제를 채택하여 수능의 변별력을 낮추는 선택을 했다. 우수한 인재를 뽑아 가르치고 싶은 대학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래서 대학은 ‘통합논술’이라는 또 하나의 방안을 개발했다. 문제는 현재 고교 교육 체계로는 통합교과형 논술 개념에 근거한 교육을 할 수 없다는 현실이다. 당연히 중심추는 제도권 교육에서 사교육으로 옮겨질 것이 뻔하다.
서울대도 사회의 뿌리를 흔들어 버리면서까지 우수한 인재를 뽑는 데 신경 쓰기보다 우수하지 않은 인재라도 경쟁력 있는 인재로 교육하는 데 노력한다면 국민들이 대학의 주장에 공감할 것이다.
서울대는 통합논술안이 국민들에게 얼마나 이기적으로 비쳐지는지도 직시해야 한다.
방성권ㆍ전북 전주시 효자동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