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서울대생 김세진 이재호가 반미시위 도중 서울 신림4거리에서 몸을 불살라 숨졌을 때 이창학(42)씨는 집 근처인 과천 도립도서관에 있었다.
소식을 듣고 집에 가서 그저 울었다. 무언가 해야 할 것 같은데,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노래를 쓰기로 했다. 집에서 버스 안에서 길을 걸으면서도 가슴 속 깊은 슬픔은 툭툭 터져 나왔다. 그렇게 만든 곡이 80년대 가장 많이 불린 민중가요 중 하나인 ‘벗이여 해방이 온다’다.
서울대 노래패 ‘메아리’ 소속이었던 그는 졸업 후에는 노래운동에 몸을 담으며 많은 민중가요를 작곡했다.
그가 ‘Reminiscence Of 80’s’(80년대의 회상)라는 음반을 냈다. 필명 이성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그는 “김민기 선배는 일기 쓰는 기분으로 노래를 쓴다고 했는데 당시 내 노래는 불법 테이프로만 남아 있어 흔적이 없다. 동시대인들이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옛 노래들을 모았다”고 했다.
지나 보면 많은 사람이 죽고 그래서 슬펐지만, 또한 젊고 겁이 없어 아름다웠던 시절이었다. 93년 미국 유학 중 잠깐 귀국한 김에 광주 망월동 묘역에 갔다. “젊은 시절 노래운동 하던 이들은 다 떠나 사시 공부하거나 대기업에 다닙디다.
우리는 남아 돈 벌며 살고 있는데 죽은 사람만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때 만든 노래가 ‘망월동, 1993년 여름’인데 지금 기분도 마찬가지란다. “세진이 아버지처럼 80년대 비극의 상처를 안고 사는 이들이 많습니다. 80년대를 굳이 끄집어 낸 것은 그 분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부탁하고 싶어서입니다.”
“한몫 접고 포기하며 산다”며 웃었다. 지금의 삶은 끓어오르게 젊던 그때와 다르다. 미국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강남 대치동에서 과학전문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처음엔 아르바이트로 시작했는데 어쩌다 보니 소문이 나고 학생들이 몰리면서 그만두지 못하게 됐다”고 한다. 지난해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 진출한 5명 중 4명이 자신의 학원 출신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음반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목소리를 빌려 줬다. 당시와 마찬가지로 윤선애가 ‘벗이여 해방이 온다’를, 동아리 선배인 성공회대 김창남 교수가 ‘눈물로 피리니’를 불렀다.
17살 아래 동아리 후배인 국악인 이자람은 ‘하늘’을 불렀다. “고교 2학년, 1학년인 두 아들은 아버지가 만든 노래를 가끔 따라 부르지만, 요새 모든 애들이 그렇듯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아요.” 이제는 대학밴드 정도로 변해버린 노래패 후배들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음반은 어쩌면 내 또래만 공감할 수 있는 격리된 정서를 담고 있을 겁니다. 젊은 세대들은 물론 잘 모르겠지요. 하지만 우리 세대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니까요.”
최지향기자 사진=류효진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