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장관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17일 면담은 참여정부 출범 후 2년 이상 냉각돼온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북핵 6자회담을 정상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2003년 대북 송금 특검을 기점으로 노무현 정부와의 접촉을 끊기 시작해 지난해 7월 김일성 주석 남측 조문단의 방북이 무산되면서 대남 대화나 만남을 사실상 단절시켰다. 정 장관과의 면담은 이 같은 단절의 노선을 거둔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나아가 남북관계 진전과 북핵 위기의 원만한 해결을 향한 사인을 보낸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이번 행보는 5월13일, 6월6일 뉴욕채널을 통해 미국과 긍정적인 교감을 나누기 시작하는 사전정지 작업 끝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월10일 6자회담 불참 및 핵 보유를 선언한 북한이 뉴욕채널로 핵 문제에 대해 진지한 접근을 시작했고, 비슷한 시기에 남북 차관급 회담을 열었다는 점에서 남북관계와 핵 문제를 함께 풀려는 의도가 읽혀진다.
따라서 이번 면담은 김 위원장이 한반도 정세를 근본적으로 제약하고 있는 북핵 문제에 대해 나름의 결론을 내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적어도 핵 문제로 한반도가 위기로 치닫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지는 갖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미국과 협상하고자 하는 김 위원장의 발언은 이런 맥락에서 나왔다고 봐야 한다. 전날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우리도 미국을 우방으로 대하고 싶다”는 말도 이런 변화를 염두에 두고 나온 것이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은 핵 포기를 하면 북한의 체제 안전과 대미관계의 진전이 보장된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메시지를 경청, 6자회담 협상이 빠른 속도로 전개될 가능성도 시사했다.
결국 김 위원장은 국제사회가 이번 면담을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신호탄으로 읽고 북한이 복귀할 수 있는 여건을 좀 더 조성해달라는 주문으로 해석해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향후 김 위원장은 6자회담 테이블로 복귀, 미측과 밀고 당기는 협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대남 관계에서도 장관급 회담을 정상 가동하고 남북정상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비선 채널을 복원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남북간 의제로 논의되지 못했던 북핵 문제와 군사적 긴장완화 분야에서도 어떤 성과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