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고·대학생 '의무적' 자원봉사는 시간낭비
많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에서도 자원봉사 의무시간을 두고 있다. 어려운 이웃에게 관심을 갖고 도움을 주는 자원봉사가 의무화하면서 의미가 퇴색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자원봉사를 나온 학생들이 시간 때우기에 급급하고, 심지어 돈으로 그 시간을 사려고 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얼마 전 한 장애인복지관에 자원봉사를 하러 갔을 때 자원봉사 나온 학생들이 뒷마당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을 보았다.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는 것도 문제가 되지만 다른 봉사자들이 장애아동과 20분 넘게 산책하고 돌아올 때까지 그 자리에서 잡담하고 있었다. 이들의 목적은 자원봉사가 아닌 시간 얻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기관이 이러한 자원봉사자에게 일을 맡길 수 있을까? 이런 부분을 어떻게 보완해야 할까? 무엇보다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자원봉사를 해 본 사람들 중 “도와주러 갔다가 더 많은 것을 얻어왔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봉사는 ‘남을 도와준다’는 거창한 개념이 아닌, 조금 더 어려운 이웃들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다.
이런 작은 관심에서 시작해 봉사를 받는 사람과 봉사하는 사람과의 유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한다면 어떨까? 자원봉사를 할 때 관심 있는 대상이나 분야를 선택한다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nicknation
■ 외국병원 의료불평등 우려
경제자유구역에 들어서는 외국 병원이 내국인을 진료할 수 있도록 한 법안이 긍정적인 측면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어서 걱정된다. 의료시장이 개방되면 국민의 건강을 지켜주던 건강보험제도의 기반이 붕괴되며 이를 대체할 민간보험의 등장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의료보장_의료공급_의료이용 체계 전반의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부유층이 고급 병원에 몰리고 국내 의료기관의 고급화 경쟁 등이 발생해 그동안 건강보험 제도를 통해 통제되었던 의료비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다.
보건의료체계의 상업성, 영리추구성은 심화할 것이며 계층간의 의료 이용 및 건강 수준 불평등이 커질 것이다. 외국의 거대한 자본과 우수한 의료시설 앞에 국내 병원 간 계층화가 심화할 것이며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중소병원 또한 경영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외국 투자자본, 제약회사, 의료산업 업체 등이 국내 투자를 원하고 있으며 그만큼 의료시장 개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의료시장 개방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돌아봐야 한다.
han3123
■ 엠바고 파기 어론 반성해야
최근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 성과 보도와 관련해 일부 언론의 엠바고 파기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세계적인 연구 성과라 할지라도 완전한 평가를 위해서는 저명 과학 전문지에 논문이 실리는 게 필수적인 만큼 다음부터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관행적 이유로 터무니없이 설정된 엠바고로 인해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가 침해되는 경우도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엠바고 파기의 경우 지난해에 이어 반복된 것이기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의 일부 신문은 국익이라는 대승적 관점에서 신중했어야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과학 기사의 엠바고는 잘못된 연구 내용이 과학계에서 검증되지 않은 채 일반인에게 노출되는 일을 막는 안전장치의 역할이 크다. 해외 유력 언론이 엠바고를 철저히 준수해 전문지에 내용이 소개된 이후에 기사를 싣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과학 강국 이미지를 통한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신문지상이든 인터넷판이든 국제적 엠바고가 지켜질 수 있기를 바란다.
최진영ㆍ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4년
■ 원고료 정부 지원 공평해야
영상 매체의 발달로 TV와 정보기술(IT) 시장은 고속 성장을 거듭해 왔지만 문자 매체인 출판시장은 심한 재정난을 겪고 있다. 출판계의 어려움이 장기화한다면 작가들의 창작 활동이 위축되거나 붕괴될 우려가 높다.
문화관광부가 이런 현실을 감안해 원고료를 직접 지원하는 개선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문학잡지에 작품을 싣는 작가에게 시는 편당 10만원, 소설은 원고지 1장에 1만원씩 고료를 지급하고 단계적으로 고료를 높여 나가겠다는 것이다. 작가들에게는 그나마 반가운 소식이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전국에서 발행되는 175종 문예지 가운데 어떤 기준으로 지원 대상을 정하겠다는 건지, 결과적으로 선별 지원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라는 것이다.
출판계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장르별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등 뼈를 깎는 혁신이 필요하다. 작가가 정부로부터 원고료를 지원받는다는 것은 우리 문학계의 서글픈 현주소다.
박명식ㆍ서울 구로구 오류1동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