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16일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을 대통령 정무특보로 임명한 것은 우선 ‘정치특보’의 부활이냐는 점에서 시선을 끈다. 또 ‘리틀 노무현’으로 불려온 김 전 장관이 노 대통령 곁으로 돌아왔다는 점에서도 그의 역할에 촉각이 모아진다.
노 대통령은 지난해 6월초 정치특보 제도를 폐지하면서 “당과 국회 운영에 대해 간섭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이번 ‘정무특보’ 신설이 당청(黨靑) 분리 원칙과 어긋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낙선자인 김 전 장관의 경력을 관리해주기 위인설관(爲人設官)이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한다.
이에 대해 김만수 대변인은 “당청 분리 방침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정무특보는 고정적 역할이 부여된 상근직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종종 자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정무특보는 지난해 폐지된 정치특보와는 달리 당청간 가교 역할보다는 주로 대통령의 정무적 판단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김 특보의 역할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김원기 국회의장과 문희상 열린우리당 의장 등이 잇따라 맡았던 정치특보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문 의장 등은 청와대 의견을 당에 전하는 채널 역할을 주로 했지만 원내 경험이 없는 김 신임 특보는 우리당의 전국정당화를 포함한 지역구도 해소를 위한 자문 및 민심 전달 등의 역할을 주로 맡을 것으로 보인다. 김 특보는 “당ㆍ정ㆍ청 공식 라인에서 협의되는 것들 가운데 국민 입장에서 빠진 부분을 직접 챙겨 전달하겠다”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위해 전국을 돌면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최대한 해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특보는 2003년 9월 한나라당이 주도한 해임 결의안이 통과돼 행자부장관직에서 낙마한 지 20개월 만에 노 대통령 곁으로 복귀했다. 그는 지난 4월 우리당 상임중앙위원 선거에서 낙마했지만 이번에 정치특보를 맡게 됨으로써 다시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