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월만에 남북 당국간 대화가 재개된 데는 정부의 물밑 노력이 상당했다.
남북대화가 중단된 결정적 계기는 지난해 7월 벌어졌던 김일성 주석 조문 불허와 탈북자 대량 입국이었다. 북측은 즉각 각종 보도와 성명 등을 통해 정부의 조치를 비난하는 한편 예정됐던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남북 해운협력 실무접촉 등의 회담을 취소했다. 특히 9월로 예정됐던 4차 6자회담까지 무산시킨 북한은 이후 가을철 비료 10만톤을 지원 받기 위해 11월 금강산에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회담을 가진 것 외에는 남북대화를 전면 거부했다.
정부의 남북대화 재개 노력이 시작된 것은 지난해 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 때부터 3차례에 걸쳐 북측에 남북대화 재개를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하는 한편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방북 하는 민간인, 고위급 외교사절 등을 통한 간접적인 대화재개 요구도 있었다.
북측의 태도 변화는 올해 초부터 감지됐다. 북측 방송과 성명에서 조문, 탈북자 등에 대한 비난이 사라졌다. 또 비무장지대 산불 진압을 위한 남측 소방헬기 진입 및 구호선박의 북측 영해 진입 허용, 남측 월북어선 귀환 등 유화적 태도도 보였다.
이어 지난달 23일 이해찬 총리와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회동을 갖고 대화 재개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분위기가 무르익었다. 이달 초 정 장관은 다시 한번 북측 핵심인사에 대화재개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에 북측은 지난 주 남북 당국간 대화재개 의사를 전달해왔다. 그러자 정부는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하는 남북회담을 제안했고, 북측은 16일 하루 동안만 회담을 갖자고 했다가 결국 남측 제안대로 16~17일 개성회담을 수용했다. 북측은 특히 14일 판문점을 통해 남북 차관급 회담 개최에 합의한다는 전화통지문을 보내는 동시에 방송과 통신 등을 통해 이 내용을 공개, 대내외 선전에 적극성을 보이기도 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