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계의 이목이 미국 워싱턴으로 향하고 있다. 이번 주말 워싱턴에서는 서방선진 7개국(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한자리에 모이고,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관계자들이 연석회의를 열어 세계 경제의 맥을 짚는다. 15, 16일 예정된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담과 16, 17일의 세계은행·IMF 춘계총회에서는 지난해부터 세계 경제성장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고유가 문제를 비롯, 미국 경제에 대한 진단과 중국 위안화 절상문제, 빈국 부채 탕감 등 세계 경제의 현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회의의 가장 뜨거운 이슈는 고유가 문제이다. G7 재무장관들은 특히 석유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초래할 세계 경제의 장단기적 영향을 점검하면서 대책 마련의 시급함을 역설할 전망이다.
IMF는 앞서 7일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에 이를 정도로 변동성이 심할 것"이라며 항구적인 오일 쇼크를 경고했다.
중국의 석유수요 급증에 따른 공급 부족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비(非)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가의 증산이 따라야 하지만 이들 국가의 생산능력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비 OPEC 국가의 생산이 정점에 달한 이후인 2010~30년에는 OPEC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면서 유가 급상승의 위험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게 IMF의 진단이다.
2003년부터 세계경기 회복의 동력 역할을 해온 미국 경제의 내재적 위험도 핵심 의제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막대한 쌍둥이 적자(무역적자+재정적자)를 미국뿐 아니라 세계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위협적 변수로 보고 있다.
워싱턴의 한 전문가는 "달러 선호도가 떨어지는 상황이 지속되면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를 국채 발행으로 메워온 미국 금융 체계가 흔들리면서 세계 경제의 불안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고스란히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무역 흑자 규모로 이어지고 있는 세계 경제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G7 재무 장관회담에서는 중국의 위안화 절상에 대한 압력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이 이번 G7 회담 불참을 천명하고 IMF 춘계회의에도 대표단의 격을 낮춰 파견하는 것으로 미뤄 중국의 환율 정책 기조가 바뀔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6월 세계은행 총재 교체를 앞두고 선진국의 빈곤국 대책도 주목된다. 8,000억 달러 규모의 빈곤국 부채를 경감하는 방안은 제임스 울펀슨 세계은행 총재가 역점을 둬온 사업이다. 저개발국가들은 폴 월포위츠 미 국방부 부장관이 울펀슨 총재의 뒤를 잇게 되면 빈국 부채 탕감에 대해 어떤 정책을 취할지를 벌써부터 예의주시하고 있다.
워싱턴=김승일특파원 ksi8101@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