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12월 남아시아의 지진해일로 25만에 가까운 인명피해와 140억 달러에 달하는 엄청난 재산피해가 난데 이어, 최근 일본 후쿠오카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국민 모두가 크게 놀라고 불안에 떨었다.
지진과학은 데이터와 분석, 응용이 밀접하게 얽혀있어 이들이 삼위일체로 긴밀하게 작동될 때 성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도 지진, 지진해일과 지진공학의 중추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연구기관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지역별 정밀지진위험도를 만들고 지진해일 조기경보체계를 갖추는 것이다.
지진은 불과 1분 안에 모든 것을 파괴한다. 이는 순간적으로 3차원 운동 즉, 상하 좌우 회전운동을 동시에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번 후쿠오카 지진은 ‘판경계 지진'이 아니라 ‘판내부 지진'인 대륙성 지진이다. 이 경우 수평운동이 발생하는데 육지에서라면 피해가 훨씬 커진다. 이번에는 비교적 수심이 얕은 해저에서 발생해 해일은 없었다.
그러므로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 지진 재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구역별 정밀지진위험도가 필수적이다. 대도시(Mega-city) 정밀지진위험도는 해당 지역의 지질·지층구조, 지진활동 및 단층 조사, 지반 탁월주기 등의 기초자료와 확률론에 의거해 작성된다. 이번 지진으로 남한 전역이 진동한 것은 가까운 거리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반이 약하다는 것도 의미한다.
그러므로 내진설계 때 지진크기에만 맞추는 것은 위험하다. 지진은 지하 수km 에서 수십km 깊이까지의 땅덩어리 전체가 지상 구조물과 함께 3차원 운동을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는 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전기술원, 한전전력연구원 및 대학에서 지진 관측망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국제수준의 최첨단 장비(STS-2/STS-1)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장비를 갖고 있어도 여기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 관측할 수 있는 고급인력과 기술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
일본은 지진발생 후 10초 이내, 그리고 대만은 20~30초 이내에 지진정보를 통보할 수 있는 조기경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우리도 우수한 지진관측망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하루 속히 이를 활용한 조기경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현재도 우리 동해안은 일본 홋카이도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 피해를 종종 입는다. 이 해일은 도착까지 2시간 정도 걸리므로 진원지 파악 및 통보 시간은 충분하다. 지진해일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은 중앙 부서와 지방자치제의 협력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이번 전국 지진쇼크는 신속하고 정확한 조기경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시켜 주었다.
그리고 지금 여러 곳에 분산된 소규모 지진연구 그룹을 통합, 지진 및 지진해일 등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책임 있는 국가연구기관을 만들어야 한다.
또 국제적인 자료와 정보교환이 절대적이다. 특히 한반도 동해해역에서 발생하는 지진 인자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일본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일본은 전국적으로 1,000곳 이상의 지진관측소를 관련기관과 대학들이 공동관리하고 자료를 공유하면서 누구든 지진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얼마 전 북한 압록강상류의 버섯구름이 많은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선진국들은 비밀 핵실험 탐지에도 지진과학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진과학기술은 우리의 국방전략 차원에서도 키울 필요가 있다.
김소구 한국지진연구소장 한양대 지구해양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