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청년 인력의 취업난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한가지 긍정적인 소식이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올해 81만 개의 해외 일자리가 우리 청년들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는 물리치료사, 치기공사, 간호 보조사 등 헬스케어 인력, 중국에는 주중 한국 기업의 전문 엔지니어, 일본에는 정보 통신기술자, 중동에는 건설과 서비스업종 등이다. 문제는 이런 해외 일자리에 한국 청년들이 경쟁해서 진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력양성에 관한 제도적 혁신과 함께 구직자 개인의 준비가 있어야 한다.
첫째, 영어 일변도의 외국어교육 체계에서 벗어나 중국어, 불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 제2, 제3외국어 교육시스템으로 가야 한다. 그래야만 남미, 유럽, 중국에의 인력 수출이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국제적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자격증 제도를 우리나라 노동 당국에서 주관하여 개발해야 한다. 현재 1,000여 개 되는 자격증제도의 대부분은 국내에서의 일자리를 목표로 하고 만들어진 자격증이다.
셋째, 해외 취업과 관련한 정보수집 채널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는 세계노동 시장에서 일자리를 원활히 찾아가느냐가 그 민족의 번영지표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아무리 우수한 능력의 인력이 한국에서 양성된다고 할지라도 정보력에서 뒤지면 국제적으로 진출이 어려워 진다.
기술진보로 인해 초음속으로 뉴욕과 서울을 두시간만에 비행하게 되는 시대가 곧 오게 되는바, 국가 간 노동력 이동은 더 용이해질 것이다. 또 신자유주의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다국적화해 갈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 뛰어들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떤 사람이 어느 국적을 가졌느냐 보다는 그가 가진 순수한 능력을 더욱 중시하는 움직임이 가속화할 것은 명약관화하다. 즉 해외시장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는 앞으로 더욱 더 늘어날 것이다.
국가간의 취업 비자문제, 특정 직종에서의 외국인 취업 금지정책 등이 지금은 많은 한계로 작용하고 있지만 이익을 추구하는 다국적 기업의 속성상, 점점 기업의 다국적화가 촉진될수록 이런 장벽들은 해소되어 가리라고 본다. 우리나라의 청년실업 문제를 풀어가는 한 방법으로 더 적극적으로 세계 요소요소의 다양한 인력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그 기회를 선점토록 적극 지원하는 등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때이다.
김농주 연세대 취업 상담과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