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노무현 정부 2년 점검/ 본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노무현 정부 2년 점검/ 본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

입력
2005.02.23 00:00
0 0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가 취임 2주년을 맞아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최근의 실용노선 표방 등 국정기조 변화에 대한 기대 심리가 반영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노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는 41.5%. 미디어리서치에 따르면 취임 초였던 2003년 3월 75.1%였던 지지도는 취임 100일(52.4%·2003년 6월2일 조사), 6개월(40.9%·2003년 8월23일 조사), 1년(37.7%·작년 2월22일 조사)을 거치며 줄곧 내려 앉았다. 그러다가 2주년을 맞아 다시 고개를 든 것이다.

■ 盧대통령 지지도/ 호남·PK지역 盧지지도 상승 뚜렷

20대(48.5%) 학생(49.4%) 호남권(69.3%)에서 상대적으로 지지가 높았고, 50대(64.7%) 자영업(60.1%) TK(67 .6%) 인천·경기(62.1%)에서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주목되는 것은 1년 전과 비교해 호남(49.7→69.3%)및 PK지역(36.5→47. 9%)의 지지도가 눈에 띄게 상승했고, 충청(46.9→45.1%)의 지지도가 떨어졌다는 점. 충청권은 행정수도 이전 차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년간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는 ‘잘해왔다’(매우 1.5%, 대체로 35.7%)는 응답은 37.2%로 현 지지도보다 4.3%포인트 낮았다. 과거에 대한 평가보다 현재 지지가 높은 셈이다. 다시 말해 국민은 노 대통령의 미래에 기닳대를 걸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향은 노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도 나타난다. 호감도가 취임 초에 비해‘나빠졌다’는 응답이 41.6%로 ‘좋아졌다’(18.8%)를 여전히 앞섰다.

하지만 1년 전 조사와 비교하면 ‘좋아졌다’는 응답은 10.8%포인트 늘었고, ‘나빠졌다’는 응답은 9.9%포인트 줄었다. 특히 TK지역(7.9→15.7%)과 60세 이상(9.8→33.3%)의 경우 호감도가 크게 상승했다.

지지도, 호감도의 상승은 노 대통령의 입장변화에서 주된 이유를 찾아야 할 것 같다.

"새해엔 경제 살리기와 선진한국 건설에 매진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국정기조 변화 방침에 대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77.5%(매우 18.6%, 다소 58.9%)로 압도적이었다는 데서도 잘 드러난다.

40대(81.3%) 인천·경기(83.9%) PK(8 4.4%), 월평균 400만원 이상 고소득층(84.8%)에서 특히 긍정 평가가 많았다. 그 동안의 지지 여부를 떠나 노 대통령의 변화 방향에 대해서 국민이 폭 넓게 공감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동훈기자 dhlee@hk.co.kr

■ 국정운영 평가/ 가장 잘못 "경제" 잘한 분야 " … "

노무현 정권 2년간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는 ‘경제정책 실패’로 수렴됐다. 취임 1주년 조사 때와 같은 결과다.

이는 2년간 노 대통령이 가장 잘못한 국정분야로 절반 이상(53.7%)이 경제정책을 꼽고, 향후 가장 역점할 둬야 할 분야로도 무려 76.4%가 경제정책을 지목한 데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취임 1주년 조사 당시 경제정책이 잘못한 분야(57. 6%)와 역점을 둘 분야(74.3%)의 1위를 차지한 것과도 별로 다르지 않다.

이 때문인지 ‘2년전과 비교해 생활이 어떻게 변했나’는 질문에 ‘변함 없다’는 응답이 47.8%로 가장 많았지만, ‘나빠졌다’(44.4%)가 ‘좋아졌다’(7.8%)는 답보다 5배 이상 많았다.

잘못한 분야로는 경제정책 다음으로 정치개혁(10.6%) 교육정책(5.9%) 대미·외교(4.4%) 등이었다. 대미·외교가 4위가 된 것은 최근 불거진 북핵 문제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가장 역%점을 둬야 할 분야로는 경제정책에 이어 정치개혁(4.7%) 복지정책(3.5%) 교육정책(3.4%) 남북관계(3.1%) 등이 꼽혔다. 특히 경제정책에 역점을 둬야 한다는 반응은 모든 계층에서 높은 가운데 60대 이상(79.4%) 강원지역(87.5%) 자영업자(81.6%) 등에서 두드러졌다.

노 대통령이 가장 잘한 국정분야를 묻는 질문에선 ‘없다·무응답’이 35.5%로 가장 많았다. 다만 1주년 조사 때의 44.7%보다는 9.2%포인트 낮아졌다.

잘한 분야로는 정치개혁(17.6%) 복지정책(8.9%) 지역통합(7.3%) 등이 지목됐다. 그러나 정치개혁은 잘못한 분야에서도 2위를 차지해 상반된 시각이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

■ 현안 어떻게 풀어야 할까/ "내 이념은 중도" 40%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과거사 진상규명 문제는 이번 여론조사에서도 합일점을 찾기 힘든 여론 분산 현상을 드러냈다.

과거사 규명 자체에 대해선 ‘바람직하다’는 응답(50.2%)이 ‘바람직하지 않다’(46.4%)는 응답보다 많았다. 그러나 규명 시기에 관해서는 ‘즉시 하자’(45.6%)는 의견보다 ‘중단하거나 연기해야 한다’(51%)는 쪽이 조금 더 많았다.

정당지지 성향에 따른 입장은 선명했다. ‘바람직하며 조속히 과거사 규명을 해야 한다’는 답변은 열린우리당(43.3%) 민노당(43.2%) 지지 층에서 높았고, 한나라당 지지 층에선 ‘정치적 의도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41%나 됐다.

최근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개헌론에 대해서는 ‘현행 5년 단임제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개헌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이 36.3%로 가장 많았다. 개헌론을 정략에 따른 것으로 보고, 개헌정국의 혼란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어 ‘대통령 4년 중임제 및 정·부통령제로 개헌해야 한다’는 응답은 27.1%였고 ‘대통령과 총리가 역할을 분담하는 이원집정제로 개헌해야 한다’(19.1%) ‘내각제로 개헌해야 한다’(8.2%)의 순이었다. 응답자의 절반 가량(54.4%)이 개헌 찬성쪽에 선 셈이다. 전과 비교해 개헌 찬성의견이 느는 추세라는 게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60세 이상(43.0%) 주부(41.3%) 중졸이하(41.1%) 응답 층이 ‘현행 유지’쪽에 섰고, ‘대통령 4년 중임제 및 정·부통령제’는 40대(36.4%) 화이트칼라(37.1%) 대재 이상(32.4%)의 지지가 높았다.

정계 개편론에 대해서는 ‘진보 중도 보수 등 이념에 따라 재편돼야 한다’(31.2%), ‘지금 정당 구도 그대로가 바람직하다’(26.8%) ‘산업화 세력과 민주세력 등 그간의 역정에 따라 재편돼야 한다’(24.1%)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이념 성향을 묻는 질문에선 중도라고 답한 응답자가 39.8%로 가장 많았고, 진보(29.5%)와 보수(27.6%)라는 대답은 엇비슷했다.

이동훈기자

■ 차기 대통령감은 누구/ 고건 28.3% 1위 굳건

고건 전 국무총리가 차기 대통령감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은 역시 정책 이미지와 안정감이 긍정적으로 어필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고 전총리는 28.3%로 각각 2, 3위인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10.4%)와 이명박 서울시쳄?(10.3%)을 큰 차이로 앞섰다.

그는 연령·지역·직업·성별을 가리지 않고 고른 지지를 받았다. 그런 가운데 50대(36.1%), 자영업(33.1%) 화이트칼라(33.3%), 서울(38.4%)의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미디어리서치 김지연 부장은 "당파성 엷은 색채로 민생을 챙기는 이미지가 고 전총리 지지율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분석했다. 또 ‘밴드왜곤 효과’(bandwagon effect·우세하다고 예측되는 후보자를 지지하는 경향)이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고 전총리는 지역별로 호남(38.6%)에서 지지율이 가장 높았지만, 대구·경북(TK)에서 18.5%를 얻어 박 대표(17.6%)를 제친 것이 눈에 띈다. 열린우리당 지지 층에서도 34.5%를 얻어 정동영 통일부 장관(16.6%), 김근태 복지부 장관(4.6%)을 여유 있게 앞섰다. 민주당 지지 층 중에선 무려 51.2%가 고 전 총리를 지지했다. 자신의 이념을 진보라고 답한 사람들도 33.9%가 고 전총리를 꼽았다.

박근혜 대표와 이명박 시장간 격차가 0.1%포인트로 줄어든 것도 이채롭다. 이 시장이 행정수도 이전문제에 대해 독자적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 강한 인상을 심은 반면 박 대표는 당 안팎의 도전에 직면한 최근 상황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나라당 지지 층에선 박 대표(21%)가 이 시장(16.6%)보다 4.4%포인트 높았다.

박 대표는 60대 이상(17%) 고령 층에서 지지율이 높았고, 지역별로는 TK(17.6%)에서 지지자가 많았다. 이 시장은 50대(13.5%) 서울(18.7%) 강원(18.8%) 대학생층(12.4%)에서 강세를 보였다.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7.9%)가 20대(10.9%) 강원(21.9%) 등의 지지를 기반으로 4위를 기록한 것도 시선을 끈다.

이어 정동영 장관이 호남(18.4%)과 충청(12.7%), 진보 성향층(12.9%)의 지지 속에 5위(7.6%)를 차지했다. 정 장관은 호남에서도 고 전총리(38.6%)에게 크게 밀렸다. 정몽준 의원(3%)은 블루칼라 층(9.2%)에서 비교적 지지율이 높았다. 김근태 장관(2.8%)은 블루칼라(5.1%)와 부산·울산·경남(4.8%)의 지지율이 평균치를 웃돌았다. 손학규 경기지사(2.7%)는 인천·경기(4.8%)에서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해찬 국무총리(2.4%)와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2.1%)이 뒤를 이었고 열린우리당 김혁규, 한나라당 강재섭 의원 등도 거론됐으나 지지율은 미미했다.

정녹용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