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6월28일~9월10일 전국 9,308가구와 65세 이상 노인 3,278명을 대상으로 한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에서 노후를 준비하지 않은 노인이 71.7%나 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1998년 이후 6년 만에 이뤄진 것이다. 노후 준비 방식은 공적연금(67.2%), 저축(38.3%), 부동산(19.7%), 개인연금(4.8%) 등의 순이었다.
이에 따라 상당수 노인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다 낮은 취업률과 단순직 종사 등 열악한 노인 취업구조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노인으로만 구성된 가구 비율이 매년 늘어 전체 가구의 51.2%나 됐다.
노인·자녀 동거가구는 1994년 56.2%에서 1998년 53.2%, 지난해 43.5%로 줄었다. 노인 취업률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 창출 노력에도 불구, 30.8%에 그쳐 1998년의 29%에 비해 변하지 않았다. 직종은 농·어·축산업(53.9%), 단순 노무직(27.8%)이 많았다. 노인의 주 수입원으로는 교통수당(89.7%), 용돈(78.6%), 근로사업소득(27.8%), 공적연금(13.9%), 경로연금(12.8%), 자산소득(12.5%), 기초생활보장수급비(8.6%) 등이 꼽혔다. 이상적인 노후 생활비 확보 방식으로는 국가재정(40.9%), 독자 노력(40.2%), 가족(18.7%) 등을 들었다. 노인들의 월평균 용돈은 13만3,000원이었다.
노인들이 자신을 노인으로 인식하는 나이를 70~74세(47.2%)와 65~69세(30.8%)가 많았고, 75~79세나 80세 이상이라는 응답도 각 4.3%나 됐다. 노인으로 느끼게 된 계기는 기력 쇠퇴(42.7%), 노인 대우 받을 때(12.5%), 흰머리·주름살(7.3%), 손주 생겼을 때(6.7%), 건망증(5.7%) 등의 순이었다. 노인의 77.3%는 별거 자녀와 월 1회 이상 접촉하며, 79.5%는 주 1회 이상 연락을 주고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사용할 줄 아는 노인은 5.4%에 불과했지만 16.2%는 정보화 교육을 받겠다고 밝혔다.
권대익기자 dk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