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오늘] <1334> 立春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오늘] <1334> 立春

입력
2005.02.04 00:00
0 0

오늘은 24절기의 첫째인 입춘이다. 입춘 전날을 절분(節分)이라고 하는데,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이다. 이 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는 데서도 알 수 있듯,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입춘을 새해 시작으로 여겼다. ‘입춘’이라는 말이 가리키듯, 오늘은 또 봄의 첫날이기도 하다. 아직 바람이 차기는 하지만, 동아시아사람들의 세시관(歲時觀)에 따르면 겨울은 어제로 끝난 셈이다.

지난 시절에는 입춘을 맞으면 대궐의 기둥에 주련(柱聯)을 붙이고 이를 춘첩자(春帖子)라 일컬었다. 민간에서도 대문이나 기둥·대들보 등에 축원의 글을 써 붙였는데, 이를 춘축(春祝)이라 했다. 춘축에 쓰는 글귀를 입춘방(立春榜) 또는 입춘서(立春書)라고 하는데, 가장 흔한 입춘방은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국태민안(國泰民安) 가급인족(家給人足)’ 따위다. 공변됨과 사사로움을 아우르는 이런 상투적 ‘웰빙’의 소망 외에 독서인들은 입춘서를 스스로 짓거나 옛사람의 글귀를 따서 쓰기도 했다.

조선의 경우, 입춘을 맞으면 기협 6읍(畿峽六邑: 양평·포천·가평 등 경기에서 산이 많은 여섯 고을)에서 움파·멧갓·승검초 따위의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 임금에게 진상하는 관례가 있었다. 궁중에서는 이 나물들을 겨자에 버무려 오신반(五辛盤)이라는 생채 요리를 만들어 수라상에 올렸다. 민간에서도 이것을 본떠 입춘일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 무쳐 먹었다. 민간과 궁중에서 입춘일에 먹었던 이 햇나물무침이 이른바 입춘절식(立春節食)이다. 입춘을 새해 첫날로 여겼던 옛 사람들은 이 날 풍농(豊農)을 기원하는 놀이를 벌이기도 했으니, 제주도의 입춘굿과 함경도의 목우(木牛)놀이가 대표적이다. 입춘날 보리 뿌리를 관찰해 그 성장 상태로 한 해 농작물의 풍흉을 점치는 경기도 지방의 보리뿌리점도 같은 맥락의 풍습이었다 할 수 있다.

고종석 논설위원 aromach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