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주 월요일이면 아침 회의 참석차 전북 무주에 내려간다.
서울역에서 경부고속철을 타고 대전에서 내린 뒤 차편으로 무주군 청사에 도착한다. 서울을 떠나 무주까지 총 1시간 30분이 걸린다. 첩첩이 둘러싸인 산들을 관통해 만든 대전-진주간 고속도로가 2000년 개통된 후 교통은 많이 편리해졌다.
하지만 대전 시가지를 벗어나 무주로 가는 길, 앞을 보아도 옆을 보아도 산 산 산…. 산뿐이다. 그야말로 산간오지다. 인구는 2만7,600명(1만5 가구)으로 전국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군이다. 1967년 최고 7만6,000명이던 주민 수는 이후 도시화, 산업화에 밀려 자꾸만 줄어들었다.
무주읍 무주초등학교의 경우 70년대 초 200여 명이던 학생 수가 지금은 3분의 1 수준이다. 안성면엔 교직원 1명당 학생이 2명 정도인 ‘가정교사형’ 학교도 있다. 더구나 1, 2, 3학년은 학생수가 1~3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거리에서 초등학생 보기가 어렵다. 아기 울음소리도 사라진 지 오래다.
노무현 정부가 들어선 후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이 수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균형’이란 단어가 들어간 위원회도 많이 생겼다.
행정수도 이전, 혁신도시 기업도시 건설 계획 발표, 찬반 토론 등이 매일 지면과 화면을 장식한다. 조그만 기초자치단체인 무주 역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해 보겠다고 서울에 있는 공공기관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무주는 재정자립도 20%에 젊은이들이 떠나 대를 이어줄 아기가 없는 곳이 돼 버렸다. 그러므로 각종 위원회에 몸 담고 있는 교수, 전문가들은 탁상에 앉아 이론만 가지고 그림을 그릴게 아니라 실제로 빈곤 지역 현장을 돌아본 후 사실에 입각한 객관성 있는 지역 균형 발전 청사진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무주를 포함해 극도로 낙후한 지역은 정부에서 자연 재해 때 재난지구로 지정하듯이 ‘특별재난%(財難)지구’로 선포해 국가가 보호해야 한다. 특별재난지구(Special Poverty Zone)에는 도로, 교육, 사회간접자본(SOC) 등에서 평상 개념의 균형이 아닌 비상 개념의 특별지원을 해줘야 한다.
그것만이 무주(茂朱)가 주인 없는 무주(無主)에 사람 없는 공산(空山)이 아니고 춤추는 무주(舞州)가 되는 길이 아닐까.
박창석 전북 무주군 대외협력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