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시·군·구 당원협의회장 선거가 막판 열기를 더해가고 있다. 당원들이 뽑는 협의회장은 전당대회 대의원 중 일부를 추천할 권한을 갖고 있고 당내 각종 경선을 관리한다. 협의회장을 누가 더 많이 확보하느냐가 당권과 대권 향배의 관건이 될 수 있어 각 계파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당원 집단등록 등 과열·혼탁 양상마저 불거지면서 ‘기간당원 폐해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전국 234개 기초단체 가운데 25일까지 선거가 완료된 147곳. 선출된 협의회장의 성향에 대해 당 조직관계자는 "대부분 현역의원 분포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유시민 의원의 경기 고양시, 양승조·박상돈 의원의 충남 천안시 등 몇몇 이변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현역의원이 미는 후보가 선출됐다는 얘기다. 이는 의원들이 지역구 관리 차원에서 당원들을 많이 확보했다는 의미다. 지난해 10월 3만7,000여명이었던 기간당원이 최근 18만명을 훌쩍 넘어선 데는 의원들의 당원 대거 확보가 작용한 것이다.
판세를 보면, 경기 서남부와 호남을 중심으로 ‘구 민주당파’의 선전이 두드러진다. 구 민주당 출신의 상당수 지역인사들이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출마해 당선된 것이다. 의원들은 "어느 계파에도 속하지 않는 이들이 향후 당권구도에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거 결과에 대한 분석도 계파별로 상이하다. 양대 계파인 구 당권파와 재야파는 각각 ‘수도권 강세, 호남 절대우세’, ‘전국 30%, 수도권 40% 확보’를 주장하고 있다. 개혁당 그룹과 국민참여연대측도 ‘전국 20%’를 점했다는 입장이다.
계파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개미들의 선거혁명’이라는 명분은 작아지고 당원 모집, 당비 대납 등 다른 차원의 구태가 재연됐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광주시당에는 사망자의 입당원서가 제출되기도 했고, 금품살포 논란으로 경남 거제시의 선거 결과는 무효처리됐다. 강봉균 의원과 함운경씨가 경쟁해온 전북 군산은 당초 21일로 예정됐던 선거가 내달 15일로 연기됐다. 중앙당이 선거 결과를 무효화한 경남 김해시의 경우 향후 일정조차 잡지 못한 상태다. 현재에도 광주 광산구 등 4곳이 중앙당의 심의대상에 올라있다.
전통적으로 당세가 약한 강원과 영남에서는 마땅한 후보자가 없어 선거 자체가 지연되거나 경선 없이 추대로 회장을 선출하는 맥빠진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