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문화상품은 한국을 올바르게 알리는 가장 훌륭한 관광상품이다. 얼마 전 방한한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 공예담당 과장은 "공예산업이야말로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가는 지름길이자 고용증대와 다양한 산업발전의 근원"이라며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우리 정부 당국의 근시안적 사고방식, 투자와 지원에 인색한 현실을 개탄했다. 이와 함께 그는 원부자재 생산과 가공 과정에서 고용과 파생효과가 매우 높은 공예산업이야말로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산업 임을 지적했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정반대다. 인사동을 포함한 전국 유명 관광지는 온통 국적 불명의 저질 공예품들이 점거한 지 오래다. 작금 전국 대학의 공예관련 학과에서는 매년 3만여 명이 넘는 학생들이 졸업하고, 이들을 가르치는 교수들만 600명이 넘지만 공물瓦?취업, 입문하는 졸업생은 1~2%에도 못 미친다.
1998년까지만 해도 공예분야엔 고정적인 예산 배정조차 없었다. 올림픽, 엑스포 등 국가적 행사 때마다 들러리삼아 조금씩 지원한 게 전부였다. 그러다 1999년 문화산업진흥법 제정과 문화관광부에 공예를 담당하는 ‘문화상품과’가 신설됐다. 그러나 이조차 어느 날 ‘관광개발과’를 거쳐 다시 ‘관광산업과’로 떠 넘겨졌다.
정부가 공예문화에서 ‘예술’을 배제, 오직 ‘상품’ 차원에서만 다루겠다는 뜻이니 처음부터 길을 잘못 들어섰다.
특히 공예에서는 무형문화재들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분들인데도 이들을 외면하고 국적 없는 현대공예에만 치중하는 정책은 개선돼야 한다. 유네스코에서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인간문화재들의 현실은 기가 막힌다. 대부분 대학졸업장이 없다는 이유로 예술원 회원이 될 수도 없다. 문화재급도 예우를 못 받는 풍토에서 어떻게 좋은 공예품들이 만들어 질 수가 있을까.
이 뿐인가. 도심지에 유흥업소들은 수백, 수천 평도 영업허가가 나는데 왜 공예 공방은 60평 이상은 불허하는지. 다른 문화분야는 교습료를 내고도 사제지간으로 인정되는데 공예분야는 근로자와 업주관계로만 보아 온갖 산업노동관련 법률을 적용하는지.
다른 른 분야는 소위 ‘대박’이 터지면 온갖 격려와 훈포장 수여를 하면서 왜 공예가들은 장사꾼 취급을 하는지. 또 예술의 전당 등 ‘현대’예술관련 시설은 많은데 왜 전통공예 쪽은 연구소, 전시관 등이 단 한 곳도 없는지.
간절하게 거듭 당부한다. 지난 30여년 간 물론 일본, 유럽 등 해외에서 수십 차례 박람회, 전시회에 참가한 경험으로 각종 언론매체에 무려 650여회에 걸친 건의, 투고, 제언, 인터뷰 등을 통해 주장을 해왔지만 아직도 문화부에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인 적이 없다.
제발 올해부터는 공예계에 대한 적극적이고도 효율적인 정책지원이 이뤄지길 바란다. 그럼으로써 세계 속에서 우리 문화예술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염원한다. 장관님의 생각은 어떠한지요.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 협회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