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모든 인류가 현재 선진국 수준의 삶을 누리려면 얼마만큼의 자원이 더 필요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가 밟고 있는 이 지구가 최소한 3개는 더 필요하다.
현재 전세계적 자원소비 수준은 다음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잃지 않는 이른바 ‘지속가능성’을 기준으로 60% 이상 초과하고 있고, 이 초과 소비량 대부분이 선진국의 풍요로운 삶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남아시아 지진해일에 의한 대재앙이 무분별한 개발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은 이런 측면에서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다.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해양 오염으로 인한 산호초 파괴 등으로 피해가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올해 유엔보고서는 세계인구가 2050년까지 저개발국가를 중심으로 30억 명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들 국가의 공업화 진전에 의한 자원사용 증가와 환경파괴는 매우 문제다. 최근 중국의 급격한 산업발전이 전세계 원자재 파동을 불러오고 서해와 우리 국토의 대기를 오염시키고 있는 것은 우리가 익히 체험하는 현실이다.
오늘날 글로벌 기업은 경영에 지속가능성 개념을 적용하는 것을 새로운 도전으로 인식하고 있다. 듀퐁 회장을 역임한 채드 홀리데이는 최근 하버드 비즈니스리뷰에 ‘10년 내, 아니면 더 이른 시일 내에 우리는 성공적인 글로벌 기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이 지속가능성을 기업 경영에 얼마나 잘 적용했는지 여부 임을 알게 될 것이다’고 썼다.
포춘지 선정 250대 기업 중 50%를 넘는 161개 기업이 매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포스코를 비롯해 국제기준에 맞는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하는 곳이 현대자동차, 삼성SDI, 기아자동차, BAT코리아, 디아지오 코리아 등 6곳에 불과하다. 아직 산업전반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어 걸음마 수준이긴 하지만 국제적 표준에 다가가는 기업들이 점차 많아짐은 그나마 다행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지속가능경영의 방안인가. 우선 환경영역에서는 제품 설계 및 생산공정 과정에서 환경오염물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고 최소화하는 ‘청정생산(Cleaner Production)’과 ‘에코디자인(Eco-Design)’이 좋은 사례다.
선진국들은 환경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청정생산 체제를 갖추고 환경 후진국들에게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활용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사회영역은 부패방지, 고객안전, 공정경쟁, 사회공헌활동 등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영역에서의 지속가능성 달성은 기업이 각종 혁신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국가 경제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친환경 생산체제 정착을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도 중요하다. 산업자원부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가 현재 실시중인 청정생산기술 보급사업, 모기업과 협력업체 간의 친환경 공급망 구축사업 등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들 사업의 성과로 연간 2백 만 톤 이상의 오염물 배출이 줄고, 토종 청정생산기술의 해외 수출이 잇따르고 있다니 매우 반가운 일이다.
아직 사회전반에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새해에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규제하는 교토의정서가 발효된다. 2005년을 맞아 지속가능성을 작은 과제로 설정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이수열 KAIST 기업사회책임경영센터 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