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해일이 휩쓴 동서남아 피해국에 국제사회의 지원이 해일처럼 밀려들고 있다. 주요 선진국 정부가 경쟁하듯 지원액을 늘리고, 민간기업과 비정부기구(NGO)의 지원도 확대되고 있다. 약속된 현금 지원만 20억달러를 넘어, 물자·의약품 지원까지 합치면 자연재해 사상 최대규모로 기록될 전망이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가 1일 지원금을 5억달러로 늘리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자극받은 듯 미국도 3억5,000만달러로 늘리기로 했다. 독일, 영국, 스페인 등이 각각 2,700만~6,800만달러를 지원하는 등 유럽 각국도 유럽연합(EU) 차원의 약 4,000만달러와는 별도의 독자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 정부의 대응은 너무 초라하다. 애초에 60만달러 지원 의사를 밝혔다가 안팎의 눈총에 500만달러로 늘린 것?고작이다. 국내 경기가 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지만 한국 경제의 국제적 위상으로 보아 국제사회의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 경제적 국제 공헌 경험이 부족한 때문이겠지만 국민과 정부의 인식이 국제 기준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 돈만의 문제가 아니다. 주요 선진국 지도자들은 앞을 다투어 지원의 대의명분을 강조하고 있는데도 평소 그렇게 시끄럽던 우리 정부 지도자들은 침묵하고 있다.
선진국의 적극적 자세에서 배워야 할 것은 인도주의적 감각만이 아니다. 미국과 일본, 유럽의 지원 경쟁은 과거와 현재에 걸친 이 지역과의 전략적 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상품·투자 시장으로서 이 지역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우리의 굼뜬 자세는 전략적 사고의 결여와 다름 없다.
6일 자카르타에서 6개 지원국 정상급 회담이 열린다. 이해찬 총리의 참석을 계기로 지원액이 크게 늘어나리란 관측이 무성하다. 뒤늦게 어색한 생색을 낼 게 아니라 하루라도 서둘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