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휴대전화 수능 부정행위와 대리시험에 이어 제2ㆍ3의 수능 부정 조직이 적발됐다. 이들 조직은 이른바 ‘선수’ 모집에 실패해 커닝을 실행에 옮기지 못했거나 제1조직에서 답을 제공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추가로 적발된 조직은 소규모로 구성돼 그대로 묻혀버릴 뻔했다고 한다. 제4, 제5의 조직은 물론 수능 부정행위가 전국적인 현상이었을 개연성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고전적인 수법의 대리시험과 ‘디지털 첨단 커닝’ 등 온갖 부정행태가 어우러진 점도 특징이다. 수험표에 사진조차 바꾸지도 않는 원시적인 수법으로 무려 3년간이나 대리시험을 봤다는 사실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전부터 인터넷에 나돌았던 주민등록증과 수험표 위조를 동원한 부정행위는 얼마나 많을지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뒤늦게 당정은 시험장 주변 전파차단, 시험지 유형의 다양화, 수능부정신고센터 설치, 문제은행제 도입 등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수능 1회 실시의 제도적 결함, 학벌과 성적 만능주의, 도덕불감증 등 교육정책 전반을 재검토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국민들의 놀란 가슴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당연히 검토되고 논의돼야 할 일들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할 사항은 수험장에서의 엄정한 관리 감독이다. 교사들이 인터넷에 올린 참회의 글에서 드러나듯이 학교에서의 커닝행위는 오래 전부터 관행화돼 있다. 감독해야 할 교사들이 이를 모른 체하는 풍토도 문제지만 시험이라는 게 있는 한 학생들은 언제나 커닝에 대한 유혹을 느끼기 마련이다. 커닝을 통해 얻는 것이 있다고 생각되면 이를 떨쳐버리기가 힘들다. 따라서 수험장에서 아예 커닝을 생각조차 할 수 없도록 하는 근원적인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교육 당국의 수능 부정 대책은 그런 관점에서 논의돼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