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년 10월1일 베이징(北京)을 수도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됐다. 1911년 신해혁명의 열매로 그 이듬해 1월1일 난징(南京)에 중화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래 중국인들이 고난 속에서 수행한 민족혁명의 큰 틀이 마무리된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전 대만으로 건너간 장제스(蔣介石)의 국민정부(국부)는 중화민국이라는 국호를 그대로 사용하며 한 동안 전중국인의 유일·합법·정통 정부를 자임했지만, 오늘날 중국인 다수에게 대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미수복 영토일 뿐이다. 1971년 유엔 총회가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유엔에서의 중국대표권이 타이베이(臺北) 정부에서 베이징 정부로 교체된 이후, 국제사회에서도 중국은 대만의 중화민국이 아니라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가리키게 되었다.13억 인구의 중국은 공식적으로 56개 민족으로 이뤄진 다민족국가다. 그 가운데 한족(漢族)이 92%를 차지하고, 55개 소수민족이 나머지 인구 8%를 이룬다. 한 나라의 정부나 주류민족집단에게, 그 나라의 어떤 소수민족이 국경 바로 바깥에 동족 국민국가를 지니고 있다는 것은 불길하게 비칠 수도 있다. 그 국민국가의 존재가 소수민족에게 원심력으로 작용해 동화와 통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 배후의 국민국가가 만만찮은 문화적·경제적 역량을 지니고 있을 때는 더 그렇다.
지금 중국 정부가 보기에 조선족과 한국이 그런 경우다. 만약에 통일한국이 지금 이상의 문화적·경제적 역량을 갖추게 된다면, 중국 동북지방의 조선족이 중국인으로 남기보다 (주거지를 옮기지 않은 채) 한국인이 되기를 바라는 상황은 충분히 가능하다. 중국 정부의 이른바 '동북공정'은 이런 범한주의(汎韓主義) 또는 대(大)코리아주의의 가능성에 대한 경계에서 나온 것일 터이다. 이 문제가 단지 역사전쟁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정치학인 이유가 거기 있다.
고종석 논설위원 aromach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