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노조의 파업에 대해 ‘원칙대응’을 주장하며 강경 대처에 나섰다. 생산차질 및 회사 이미지 실추 등을 우려, 노조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하며 타협했던 과거와 달리 직장폐쇄 등 노사문제 원칙 준수를 천명한 것이다.50여일에 걸친 노조의 파업으로 진통을 겪고 있는 ㈜풀무원은 23일 춘천(제1두부공장)과 의령(제2두부공장) 공장을 폐쇄했다. 회사측은 “노조가 자신들이 만든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벌이는 등 업무 방해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어 불가피하게 직장을 폐쇄하게 됐다”고 밝혔다. 사측은 임금인상 및 주5일제 근무 도입, 단일호봉제 등을 놓고 노조와 갈등을 빚어 왔다.
앞서 코오롱㈜도 18일 구미공장을 폐쇄했다. 코오롱은 24일 현재 노조의 63일째 파업으로 손실이 650억원에 달하지만 “이번 만큼은 대응방식을 바꿔 노사관계를 바로잡겠다”고 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사는 임금인상과 인력재배치 문제에는 합의했지만 노조원에 대한 고소ㆍ고발과 해고문제로 마찰을 빚어왔다.
이 회사 관계자는 “2000년, 2003년 거듭된 파업으로 1999년 대비 올 인건비가 60%나 상승, 평균 6,700만원에 이른다”며 “구조조정이 절박한 상황에서 노조의 불법행위에 마냥 끌려가다가는 회사가 살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LG칼텍스정유도 20일간 불법 파업하다 6일 백기 투항한 노조원에 대해 징계를 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법과 원칙에 따른 노사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의지다. 파업 참가 노조원 827명 가운데 35% 수준인 293명만 현장에 배치하고 나머지는 복귀 명령을 기다리도록 하는 한편 형사처벌과 손해배상 등도 함께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회사측은 불법 파업에 따른 피해책임을 묻기 위해 노조원 29명에 대해 26억1,000만원의 손해배상과 노조 투쟁기금 8,000만원에 대해 가압류를 신청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기업들의 이 같은 강경 대처는 내수침체 등 열악한 경영환경 속에서 노조의 무리한 요구에 밀릴 경우 생존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기업의 지나친 강경 대처가 노사 모두를 공멸시킬 수도 있다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황양준 기자 naigero@hk.co.kr
김희원기자 h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