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교육을 미래 투자라 한다. 특히 경제교육은 장기 투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높은 일이다. 더구나 과소비와 신용 위기를 겪게 된다는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를 넘어 2만 달러 시대를 열어가려고 하는 우리에겐 경제교육이 장래에 대한 보험과도 같다.이제는 근면하게 일하고 절약하고 저축해야 한다는 고전적 교육만으로는 안된다. 누구든지 창의성을 발휘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신념을 갖도록 해 주자. 또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는 것이다. 경제교육을 통해 세계시장에 도전할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 우리도 금융 투자 전문가를 육성하여 외국시장에 진출시켜야 한다.
그러면 경제교육은 누가 해야 할까? 우선 부모부터 해야 한다. 무엇을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유리한지 경제적으로 사고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오늘 공부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미래의 행복을 낳는다는 기본적인 원칙이다.
학교는 경제 원리를 체계적으로 가르친다. 경제 교과서도 시장경제 원리와 바람직한 기업가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가 모든 것을 떠맡을 수는 없으므로 보완해 줄 다양한 자료가 필요하다. 학교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갖추었으니 청소년이 볼 경제교육용 CD를 만들어 주자. 경제 게임 학습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자금을 투자하고, 교사를 위한 연수 기회도 많이 제공해야 한다. 경제교육이 중요하다는 말만으로는 효과가 없다.
반가운 것은 언론과 경제단체 등에서 청소년 경제교육에 관심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영리를 떠난 사회단체가 시민운동 차원에서 여론을 이끌고 전문적인 지식을 보태주면 학교도 힘이 난다. 더구나 언론과 재계가 단편적인 교과서 비판을 넘어 미래의 인적자원 개발 차원에서 경제교육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정말 환영할 만한 일이다.
경제교육은 정부가 동참할 때 더욱 빛이 난다. 정부가 청소년 경제교육에 관심을 갖고 학교에 힘을 실어주자. 대통령이 경제교사가 되어 학생들과 함께 미래 한국경제를 설계해 보자. 국회가 청소년경제교육진흥법을 제정하여 경제교육에 대한 장기 투자를 유도하고, 법원도 경제적 갈등을 합법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치자. 학교와 사회, 정부를 묶어내는 고리로 국가경제교육협의회를 구성하면 더욱 더 좋다. 청소년 경제교육은 국가의 발전을 위해 장기 투자해 볼 만한 인프라 구축 사업이 아닌가.
/김정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기획처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