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체계 개편 이틀째인 2일에도 혼란과 불편이 계속돼 시민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일부 지·간선버스의 교통시스템 단말기가 이날도 작동하지 않거나 오작동, 승객들과 운전사들은 하루종일 요금시비를 벌여야 했다. 중앙전용차로 정류장에는 버스들이 길게 늘어서 주차장을 방불케 했다.
곳곳서 요금시비
시행 첫날에 이어 교통카드 단말기가 또다시 작동하지 않은 일부 버스와 지하철역은 무임승차를 실시했다. 그러나 긴급 복구된 일부 단말기에서 요금정산 오류가 발생, 환승 할인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시민들이 평소보다 2배나 비싼 요금을 지불해야 했다. 이날 오전 신촌에서 602번 버스로 갈아탄 회사원 김모(33)씨는 "한차례 갈아탔는데 환승 버스 단말기에 1,900원이 찍혀 운전사에게 항의했더니 '기계가 거짓말하겠느냐'고 답해 한바탕 말싸움을 벌였다"며 "결국 찍힌 돈을 다 내고 내렸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지하철과 버스를 탈 때 10㎞ 초과시 부과되는 추가요금에 대해서도 거센 불만을 나타냈다. 지하철 5호선(화곡―충정로)으로 출근한 장모(42)씨는 "개편 전과 똑 거리인데 요금은 100원이 추가된 900원"이라며 "편법으로 50% 이상 인상된 요금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부 박모(35)씨도 "할증 요금을 받으려면 노선도에 할증 여부라도 알 수 있게 조치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하소연했다.
중앙차로 정류장은 주차장
이날 오전 중앙차로 정류장 곳곳에는 버스들이 50∼60m 가량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져 마치 '버스 열차'가 플랫폼에 대기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었다. 수색·성산로를 지나는 171번 버스 승객 이모(34·여)씨는 "버스 정류장을 100m 앞두고도 밀린 버스 때문에 교차로 녹색 신호를 2번이나 놓치다니 어이가 없다"고 고개를 흔들었다. 9601번 광역노선버스를 몰던 운전사 이모(46)씨는 "옛날에는 버스가 많은 정류장에서는 추월해 앞에 세울 수 있었지만 이젠 짧은 승강장에 차를 대야 해 추월 같은 것은 생각도 못한 채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다"며 "전용차선에서 접촉사고라도 나면 대책이 없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새로 디자인된 버스와 중앙차로 승강장에 대한 문제점도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고교생 송모(17)군은 "일부 버스의 차량 번호가 검정색이라 밤에는 버스가 코 앞에 와야 식별이 된다"고 지적했다. 벤치 시설이 턱없이 부족하고 가판대 등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없다는 점도 시민들을 불편하게 한다. 시각장애인들은 "중앙차로 승강장 진입 횡단보도에 장애인을 위한 청각신호가 없다"고 불만이다.
/이준택기자 nagne@hk.co.kr
■교통카드 '먹통' 원인 뭔가
2일에도 교통카드 인식기 작동오류로 일부 버스들과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이 이어졌다.
교통카드시스템을 개발한 LGCNS측은"매일 아침 버스와 지하철역 요금단말기에 신용불량자나 정지된 카드 등의 정보를 다운로드하게 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일어났다"며 문제를 빠른 시간 안에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명박 서울시장의 시장 취임일인 7월1일 교통개편을 맞추기 위해 완전하지 못한 시스템을 성급하게 가동하면서 계속적인 시스템 오류가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있다.
잇따른 사고 원인은 통신오류로 모아지고 있다. 무선랜을 사용하는 단말기와 중앙센터간의 프로그램 전송과정에서 계속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주간선버스의 경우 지난달 30일 새벽에 차고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주소지이전을 중앙센터에 보고하지 않아 제대로 프로그램이 전송되지 않았던 게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와 시스템개발업체가 버스업체들을 속속들이 파악하지 못하고 새교통카드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해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했다"며 "빠른 시간안에 시스템을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가 초보적인 실수를 수 차례 반복하는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한편 계속되는 시스템 오류에 대해 IT전문가들은 "있을 수 없는 사고"라는 반응이다. 시스템을 개발한 LGCNS는 관련업계 국내 2위의 기업으로 충분한 시뮬레이션과정을 거쳤다면 이러한 사고는 없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전에 이를 송수신할 통신망의 용량과 부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기본인데 이를 점검하지 않았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실수"라고 지적했다.
/양홍주기자 yanghong@hk.co.kr
■ 市 보완대책 발표
'마구잡이 요금결제에 중앙차로는 주차장, 지선버스는 '지옥버스'….'
시행 이틀째를 맞은 서울시의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과 맞닥뜨리며 파행을 거듭하자 시는 부랴부랴 대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시는 2차 교통개편이 예정돼 있는 10월 전까지 제기된 모든 문제점들을 시정·보완한다는 방침이지만 졸속시행으로 인한 시민불편은 감내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요금 초과징수분 환급
2일부터 요금결제가 시작된 간선버스와 지선버스에서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오작동해 요금이 과다 징수된 승객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시는 이들에 대한 초과 징수분 환급방침을 밝혔다. 음성직 시 교통정책보좌관은 "전체 버스 8,000여대 중 약 1,000대의 단말기가 하차단말기 위주로 오류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교통카드 정보를 면밀히 분석해 요금 초과징수가 입증되면 초과분을 환급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차로 이용 지선버스 선정중
중앙차로를 이용할 수 없는 지선버스의 운행속도가 20% 이상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편 이전부터 극심한 정체에 시달려온 도봉·미아로의 경우 지선버스 운행속도가 중앙차로제 시행전보다 30% 이상 떨어진 시속 13.3㎞ 이하로 나타나 지선버스가 아니라 '지옥버스'라는 말이 나올 정도. 승용차보다도 통행속도가 느려 지선버스 이용객 사이에선 버스개편이 아니라 개악이라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현재 노선이 길고 이용객이 많은 지선버스를 중심으로 중앙차로에 진입할 수 있는 노선 선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음 보좌관은 "아직 버스관리시스템 BMS와 교통카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정밀한 정보분석이 어렵지만 내년 상반기까지 시민들의 생활패턴에 맞게 계속 노선을 조정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대로 운행 노선변경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시행된 강남대로가 1일 퇴근시간대 주차장으로 돌변해버리자 시는 이곳을 운행하는 간선버스 3개 노선의 경로를 변경키로 했다. 1일 밤 강남대로엔 서울 도심에서 경기도로 빠져나가는 도 버스와 서울시 버스가 한 데 뒤섞여 500m 구간에 84대나 늘어서 있었다. 시 관계자는 "운전자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하고 교통관리요원도 추가로 배치해 강남대로가 상습정체구간이 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영기자
aurevoir@hk.co.kr
■"뻥뚫린 중앙차로"는 없었다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맞춰 1일부터 확대 시행된 중앙버스전용차로제의 효과가 당초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1일 오후 6∼8시 도봉·미아로, 수색·성산로, 강남대로등 3곳의 버스전용차로 평균 운행 속도는 시속 16.0㎞로, 서울시가 예상했던 시속 30㎞의 절반 수준을 조금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서울시 신대중교통체계의 핵심인 중앙버스전용차로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도봉·미아로의 운행 속도는 시속 17.4㎞로 시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한 예상 속도인 29㎞에 크게 못미쳤다. .
수색·성산로 역시 16.5㎞로 6월평균(13.1㎞)보다 다소 빨라졌지만 시의 예상속도인 29∼30㎞보다 훨씬 느렸다. 1일 저녁 퇴근길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버스전용차로의 정체가 극심했던 강남대로도 오후 2∼4시 평균속도가 17.5㎞에 머물렀다. 시 관계자는 "초기 혼잡은 대부분 바뀐 도로 체계에 적응을 하지 못했기때문"이라고 말했다. /전태훤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