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신행정수도 후보지 발표에도 불구하고 올 하반기의 가장 유망한 아파트 분양지역으로 판교 및 파주 등 신도시가 부상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하반기 투자가치가 가장 높은 재테크 상품으로 아파트나 경매, 금융상품보다 '땅'이, 하반기 투자를 피해야 할 부동산 상품으로 오피스텔이 꼽혔다.본보와 부동산정보제공사 유니에셋이 공동으로 14일간부터 6일간 전국 1,260명의 부동산중개업자를 대상으로 '하반기 부동산 시장전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이 하반기에 가장 분양받고 싶어하는 지역으로 판교와 파주 등 서울 근교와 경기지역의 새로운 산업도시로 부상하고 있는 도시들이 52%(660명)로 가장 많았다.
발표된 행정수도 후보지에 관심이 몰릴 것이란 일반의 예상이 빗나간 것이다.
신행정수도 후보지인 충청권 일대는 36%(450명)로 2위를 차지했고, 고속철도 역세권(7%), 서울 동시분양(4%), 용산(1%)순이었다.
'하반기 가장 유망한 재테크 상품'을 묻는 질문엔 '토지'라는 답변이 59%(735명)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은 그 다음으로 재개발 및 서울 뉴타운 투자(19%), 경·공매(15%), 금융상품(7%) 등을 선택한 반면 소형 임대아파트는 0%였다.
'하반기 투자가치가 가장 낮은 부동산 상품'으로는 오피스텔(45%)이 펜션(24%), 일반아파트(15%) 재건축아파트(14%) 등을 압도했지만 주상복합아파트는 2%에 그쳐 상대적으로 주상복합 아파트의 인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 전체 부동산 시장의 전망에 대해선 응답자 대부분이 대체적으로 비관적으로 보았다. 응답자들은 하반기의 전체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해 '보합 안정세를 유지한다'(525명·42%)와 '하락한다'(510명·40%)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일부는 '하락하다 다시 상승할 것'(17%)이란 관측도 나왔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한다'고 대답한 사람은 15명(1%)에 그쳤다.
시장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은 구체적인 시장전망에서도 잘 나타났다. '1~3% 하락할 것'이라고 답변한 사람이 46%(585명)로 가장 많았지만, '3~5%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한 사람도 30%(375명), '5%이상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본 사람도 7%(90명)이나 됐다. 반면 응답자의 13%(165명)가 '1~3%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고 4%(45명)는 '3~5% 상승할 것'으로 낙관했다. 5%이상 올라갈 것으로 예측한 응답자는 아무도 없었다.
이밖에 중개업자들은 '내 집 마련을 시도할 가장 적당한 시기'로 올해 3·4분기(36%), 올해 4·4분기(35%) 등 올 하반기에 72%(900명)가 몰렸고, 내년 2·4분기(18%), 내년 1·4분기(10%) 등의 순이었다.
유니에셋 관계자는 "아파트 분양 투자 유망지역으로 행정수도 후보지보다 서울과 경기지역 신도시를 꼽은 것은 예상 외의 결과지만 최종 후보지가 결정되지 않은 데다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찬반 논란이 가열되는 등 불확실성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응답자들은 정부의 아파트값 안정화 정책으로 인한 아파트 시장침체, 불확실한 주식시장과 낮은 금리의 금융상품에 갈 곳을 잃은 여유자금들이 결국 땅으로 몰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동국기자 dkkim@hk.co.kr
■"부동산 활성화, 안정화 정책강도에 달렸다"
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시장 안정화 정책에 대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중개업자들은 올 하반기에 시행될 정부의 부동산 정책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개업자들은 하반기에 지속될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정책의 강도와 내용이 이후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냐 아니면 침체냐를 결판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설문에 응답한 중개업자들은 하반기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 1,080(85%)명이 주저없이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정책'을 지적했다. 신행정수도 이전(10%)과 저금리(4%) 등을 꼽는 응답자들은 미미했다.
부동산중개업자인 설문대상자들의 대부분이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응답자들의 86%가 부동산 안정화정책을 '반대'(705명), '적극 반대'(375명)라고 대답한 반면, 찬성 입장을 보인 사람은 120명(찬성 105명·적극 찬성 15명)으로 8%에 불과했다. 적당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90명(7%)였다.
응답자들은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정책 중에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에서 주택을 샀을 때 계약체결 즉시 거래 가격 등 계약 내용을 시·군·구에 신고하는 '주택거래 신고제'(74%)를 우려했다. 응답자의 240명(21%)이 '아파트 분양가 원개공개'를 꼽아 원가공개를 도입할 경우 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분양가 원가공개의 대안으로 정부가 제시한 '원가연동제'를 우려하는 사람은 30명(3%)에 불과했다.
아파트분양가 원가공개 논란과 관련해 응답자들은 조건이 붙긴 하지만 대체로 '공개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응답자중 555명(44%)가 '공동주택에 한해서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를 공개하되 늦춰도 된다'는 시기상조론이 27%로 그 뒤를 이었다. '지금 바로 꼭 해야 한다'는 전격 실시 요구도 17%(210명)였지만 '할 필요가 없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50명(12%)에 그쳤다.
유니에셋 관계자는 "직업을 감안하더라도 중개업자들은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정책이 과도해 부동산 시장 침체와 지속적인 내수부진으로 인한 불경기를 우려하고 있다"며 "아파트원가공개 문제에 대해 공개찬성이 많은 것은 차제에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이 확보되길 바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태훤기자 besam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