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혁신 역량 강화(NURI)사업의 영향으로 지방대는 특성화와 경쟁력 확보라는 절체절명의 숙제를 안게 됐다. 예산을 지원받는 대학들이 전체 정원은 감축하면서 일정 비율의 규정된 충원율을 채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대학은 대학대로 그 어려움을 이겨가야 하겠지만, 교육부로서는 사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대학구조를 개혁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방별 명문을 만들어 지방 발전을 꾀하려 한다면 그에 걸맞은 지원과 점검시스템부터 갖춰야 한다. 선정 결과가 최선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탈락된 대학들을 중심으로 이의가 제기되고, 지원대상이 당초의 90여개에서 111개로 늘어난 것이 나눠먹기라는 비난도 들린다. 결국은 사업단 운영성과가 판단기준이 될 것이다.
5년간 1조원 이상을 지원하는 이 사업은 한정된 예산을 대부분의 대학에 나눠 주거나 소수 대학만 집중 지원하던 종전 방식과 다르다. 그러나 성과에 대한 전문적 점검조치가 부실하면 미자격자 지원과 부적정한 예산 집행으로 말이 많은 BK(두뇌한국)21의 재판이 될 우려가 있다.
안타까운 것은 대학과 당국의 인문·사회계 홀대 현상이다. 대학과 연구소 지자체 산업체가 한 묶음이 되어 지방대 취업률을 70%까지 높이고 지방경제를 발전시키자는 것이므로 사업단이 이공계 일색으로 짜여진 것을 이해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공계만 지방 발전의 토대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이 사업이 인문학 고사위기를 오히려 심화시키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별도의 인문학 진흥대책이 필요하다. 어제 발표된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과의 접점도 약해 보인다. 연구중심대학 육성이 취지인 BK21사업이 올해 마무리되면 2005년부터 포스트 BK21사업을 추진한다는데, 두 사업 간의 연계도 중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