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원자재난에 이어, 세계적인 안보위기를 초래할 중국발 에너지난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석유수요 급증으로 중국과 미국의 갈등증폭, 이로 인한 정치적인 돌발상황의 발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삼성경제연구소는 6일 '중국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과 에너지 안전보장'이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유가 급등은 중동의 정치적 불안, 투기적 수요 가세 뿐 아니라 중국의 원유수입 급증 때문"이라며 "중국 위협론은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을 넘어서 에너지 및 안보 위기로 전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의 석유소비는 1982년 이후 20년 동안 3배 이상 증가, 93년부터 석유 순수입국으로 전환했다. 전 세계 석유 사용량 중에서 중국의 비중은 90년 3.5%에서 올해 7.6%로 높아지고, 중국의 석유수입 의존도는 2000년 34%에서 2020년에는 62%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중국 자체의 석유생산은 동부지역 주력유전의 생산량이 한계에 직면, 증산이 곤란한 상태이고 서부지역 내륙유전의 신규개발도 수송 인프라 문제 등 난제가 산적해 있다. 또 중국 내에서 해저유전 개발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2%에 불과하다.
연구소는 중국의 원유 수급악화는 중동 산유국들이 아시아 국가들에게 원유를 비싸게 파는 소위 '아시안 프리미엄'을 높여 한국, 일본 등에 높은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석유위기를 경험하지 않은 중국이 돌발적인 공급중단 사태나 가격 위기에 직면할 경우 중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뿐 아니라, 세계적 정치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독자적 에너지 확보를 위해 중동 및 카스피해 산유국과 무기를 거래하거나, 해상 수송로 확보를 위해 해군력 증대에 나서면 미국과 중국간 안보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소 김현진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도 중국발 에너지난 발발 리스크 관리에 들어가야 한다"며 "러시아를 전략적으로 공략, 과도한 중동 의존도를 축소해야 하며 3%에 불과한 자주 원유 개발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병률기자 bry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