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으로 외교· 안보 분야 싱크 탱크인 '동북아 중심국가 시대 추진위원회' (가칭)를 두기로 한 것은 최근 주한미군 감축 논의, 북한 핵 협상 등으로 한반도 주변 정세가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경제 문제만 주로 다뤄온 '동북아 경제 중심 추진위원회'를 외교·안보 분야의 중장기 과제 개발까지 총체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동북아 중심국가 시대 추진위' 또는 '동북아 시대 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따라서 위원회 구성원도 경제 쪽에서 외교·안보 전문가로 대폭 바뀔 것으로 보인다. 동북아 시대위는 NSC 관계자, 외교·안보 부처 직원, 학자 등을 포함해 30∼40명의 직원을 두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배순훈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동북아 경제중심 추진위 직원은 25명 가량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동북아 경제중심 추진위는 주로 '번영' 즉 경제에 관련된 일만 담당해왔으나 동북아 시대위는 '번영과 평화'를 위한 모든 일을 맡게 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외교·안보 분야는 집행 부처와 각 부처의 업무를 통합·조정하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연구 및 기획 등을 담당하는 동북아시대위 등 세 갈래로 나뉘어져 일이 진행된다.
노 대통령은 1일 세계 한인회장 등을 만나 "한국은 4대 강국 사이에 끼여 있고 변방의 운명 속에 살아온 나라"라면서 한국이 동북아 중심 국가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북아 중심 국가란 부강하고 동북아 새 질서를 주도하는 국가"라면서 "중국은 너무 세서 주변국이 불안해 하고, 러시아는 유럽에 걸쳐 있는 강대국이고, 일본도 과거사에 문제가 있는 강대국이므로 한국이 주도 역할을 하기에 가장 적격"이라고 말했다.
참여정부는 출범 전후에 '동북아 중심 국가'란 표현을 많이 썼었다. 하지만 주변국들의 불편한 기류를 의식한 데다 구체적 경제 목표를 넣는 게 좋겠다고 해서 '동북아 경제 중심'으로 바꿔 써왔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최근 경제 뿐 아니라 정치의 중심까지 뜻하는 '동북아 중심 국가'란 표현을 자주 쓰고 있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