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들의 사랑과 격려가 없었다면 버티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이젠 그 은혜에 보답할 길을 찾을 때 입니다."미 해군기밀을 주미 한국대사관측에 누설한 혐의로 미 연방교도소에서 수감 생활하다 1일 오전 자택으로 귀가한 로버트 김(64·한국명 김채곤)은 석방의 첫 소감으로 동포의 사랑을 떠올렸다.
7월 27일 형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김씨는 이날 모범수에게 주어지는 사회적응 훈련의 마지막 단계로 '가택 수감(home confinement)'을 허가받았다. 형기의 마지막 두 달을 교도소 대신 집에서 생활하게 된 것이다.
7년 5개월여의 긴 수형 끝에 돌아온 버지니아주 애쉬번의 보금자리는 그러나 완전하게 자유가 허락된 공간은 아니다. 그는 보호관찰관의 허가 없이는 문밖 출입을 할 수 없다. 현관과 베란다에 나가는 것조차 통제를 받는다.
이날 오후 집을 방문한 보호관찰관은 그의 발목에 전자발찌를 채웠다. 제한 장소를 벗어나는 것을 감시하는 장치다. 다만 그가 장로로 있는 와싱턴한인교회의 일요 예배와 병원 방문에 한해 바깥 출입이 허용된다.
그래도 좋다. 손주의 재롱을 볼 수 있어 좋고, 7년여의 옥바라지로 머리가 하얗게 센 부인 장명희씨와 온종일 함께 지낼 수 있는 게 만년의 행복으로 여겨진다고 김씨는 말했다.
김씨는 미해군정보국(ONI)에 근무할 당시인 1996년 9월 미 해군 군사기밀을 주미한국대사관 백모대령에게 넘겨준 혐의로 체포돼 9년형에 보호관찰 3년을 선고받고 지난해 7년 7개월로 감형됐다.
고통스런 하루하루에 희망을 준 것은 동포들의 관심과 신앙이었다. "한국에서 온 수 많은 격려 편지를 읽고 또 읽었다. 어떤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100통을 한꺼번에 보낼 올 정도였다. 일일이 답장했고 그 편지를 지금도 보관중이다."
그는 "2월 부친 김상영(전 국회의원)의 임종을 지키기 못한 것이 못내 통한스럽다"며 "아버지 묘소를 찾기 위해서라도 당장 한국에 가고 싶지만 형기 만료 후에도 3년간 보호관찰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씨는 체포 전 상황이나 한국 정부에 대한 입장에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 간첩이 아니었기에 비밀리에 서류를 넘기지 않았다는 말로 자신의 변호를 대신했다. 그는 한국 정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겠다. 앞으로 살 일이 까마득한데 지난 일을 생각하기 보다 다시 첫 출발 하는 데 신경쓰고 싶다"고 말해 섭섭한 감정을 간접적으로 내비쳤다.
그는 자신의 체험을 글로 남길 작정이다. 김씨는 그러나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 모두를 자극하지 않는 묘수를 찾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해 한국과 미국사이에 끼인 처지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워싱턴=김승일특파원
ksi8101@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