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에 실시되는 서울의 버스운행체계 개편은 대중교통정책의 일신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준공영개념의 도입과 민간 경영기법의 접목이라는 원칙 아래 짜여진 개편안은 종전의 접근방식과 판이하다. 적자 속의 경쟁으로 고사위기에 처한 업계에 대해 지원책을 마련하고, 서비스경쟁을 유발키로 한 것은 옳은 방향이다.누구도 손대기 어려웠던 노선을 간선·지선 등 네 가지로 개편한 것부터가 큰 변화다. 신설될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제 기능을 다해 운행속도가 빨라지면 대중교통 이용은 훨씬 수월해질 것이다. 종합사령실을 통해 운행정보를 제공하고, 맞춤버스를 신설한 것도 기대를 걸게 하는 대목이다.
다만, 가장 중요한 환승체계가 합리적이지 못하면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다. 신도시 등 광역외곽권 환승센터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함께 추진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해 연계수송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시일이 촉박해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차질없이 설치하기가 어렵다거나 간선축 노선이 잘못 선정됐다는 지적도 있다. 문제점을 계속 보완해야 한다. 이번 개편은 서울시가 약속한 적정 사업이윤이 보장되지 않으면 시민의 세금으로 업체를 보전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그런 점에서라도 버스 개편은 성공해야 한다.
지방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부산 등 5대 광역시의 사업자들은 서울처럼 준공영제를 도입할 것과 임금을 올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쟁의조정신청까지 낸 상태여서 자칫하면 25일부터 전면파업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들의 불만은 왜 서울처럼 개편안을 만들지 않느냐로 집약된다. 임금인상률이 서울과 같아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지방의 버스체계도 손질해야 할 시기가 지났다. 서울의 버스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 대중교통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