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측이 열차폭발사고로 파괴된 용천지역에 대해 단순 복구가 아닌 사실상의 시가지 재건설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이 재건 사업이 향후 남북협력의 초점이 될 전망이다. 남측과 국제사회가 적극 참여할 경우 신의주특구 개발과 맞물려 북한 개혁개방의 시금석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이번 폭발사고로 인해 용천지역은 쑥대밭이 됐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피해상황은 대단히 크다"며 "살림집 8,100여 세대가 파괴됐고 공공건물과 산업, 상업건물 30여동도 파괴됐다"고 인정할 정도다.
북한측은 27일 로두철 내각부총리를 총책임자로 하는 피해복구중앙지휘부를 발족시키며 구체적인 복구청사진을 발표했다. 25개 공공건물과 800여 가구의 주택을 신축하고 3,600여 가구를 보수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계획을 향후 3개월 내에 마치겠다는 게 북측 구상이다.
하지만 정부는 북측의 여건으로 볼 때 이 공사에 최장 1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1단계 구호활동이 끝나면 2단계로는 장기적 계획 하에 재건사업을 돕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공기 단축과 주민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재 뿐 아니라 기술인력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북한 당국은 "(용천 중심지역인) 반경 2㎞가 심한 피해를 입었고 부분 파괴된 건물들도 완전히 복구하지 않으면 파괴될 형편"이라며 새 도시 건설의 필요를 인정하면서도 인력 지원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이다. 그러나 정부 당국자는 "파괴된 용천을 재건하고 남측이 제공한 건설장비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인력도 외부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게 북한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용천 재건에 외부지원이 가세할 경우 북한 개혁개방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북한이 선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카드는 신의주-용천벨트 연계개발 방식. 용천을 기존에 추진했던 신의주특구 개발에 맞춰 대중국교역의 물류중심기지나 배후도시 성격으로 개발하는 것은 북으로서도 이득이다.
박형중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재건사업에 대한 지원을 받아들일 경우 개성공단, 금강산 개발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큰 개방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북측이 27일 구호회담에서는 인력지원을 거절했지만, 정부는 더 적극적으로 지원의사를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상원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